109조원의 부채를 안고 있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재무 건전성 확보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24일 LH에 따르면 재무 건전성 확보를 위해 민간위원 중심의 재무개선특별위원회를 구성하고 다음달부터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간다.
재무개선특위는 학계를 비롯해 금융계, 회계법인, 기업 출신 등 민간 부분의 전문가 14명을 위원으로 위촉하고 이들 가운데 호선으로 위원장을 선임하게 된다. 위원의 활동기간은 1년이다.
특위는 LH의 부채 원인과 내용을 분석하고 중장기적 재무개선 목표 및 방법, 자금조달 방안 등을 제시하게 된다.
LH 관계자는 "특별위원회가 종합대책을 확정하는대로 국토해양부와 협의해 본격적인 재무 건전화 작업에 돌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LH의 재무 건전성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 택지개발를 통한 수익성 확보와 자금조달 방식을 다양화 하는 내용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택지개발 사업에 환지 방식을 일부 도입하거나 민간 자본을 유치해 합동개발하는 방안 등이다.
LH 관계자는 "환지방식은 보금자리주택 등 공공택지는 힘들고 도시개발 또는 도시정비사업에 도입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전면 수용 방식은 사업을 빨리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초기 투자비가 커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자금부담을 줄이기 위해 일부 수용과 환지방식을 혼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LH는 또 개발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민간 기업이나 재무적 투자자의 자금을 끌여들여 공동으로 사업을 진행하는 '민관 합동개발' 방식도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
특수목적회사를 설립해 이를 통해 토지유동화증권을 발행하는 방식도 검토되고 있다.
또 택지지구 공동주택지의 공급가격을 조성원가에서 감정평가로 바꾸거나 녹지율은 낮추고 용적률은 높이는 방안도 검토 대상이다.
LH는 이외에도 올해 미분양 재고자산 20조원과 신규 공급분을 포함해 총 31조원 규모의 토지와 주택을 매각하고, 21조원의 자금을 회수하기로 했다.
LH는 보금자리주택 등 국가정책사업에서 발생한 손실을 정부가 보전해주는 토지주택공사법과 통합에 다른 법인세 납부를 일정기간 연기해주는 조세특례제한법이 4월 국회에서 통과되면 자금조달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LH는 지난해 말 기준 총 부채가 109조원, 금융부채가 75조원으로 하루 이자만 74억원에 달한다.
아주경제 정수영 기자 jsy@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