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6.2 지방선거에서 여성 기초단체장을 다수 배출한다는 목표 아래 적극적인 공천 작업에 나서고 있지만 내부 사정 때문에 난항을 겪고 있다.
한나라당은 내부 반발이 예상 외로 거세고 민주당 등 야당은 지원자 자체가 많지 않아 고민인 것.
한나라당은 서울의 경우 25개 구 가운데 강남 3곳과 강북 1곳 등 4곳을 여성 몫으로 정하고 이곳에 적격자를 전략 공천한다는 방침이었다. 다만 해당 지역구 의원들이 모두 난색을 보이고 있어 초반부터 벽에 가로막혔다.
강남 두 개 구 국회의원들은 유권자들이 원하는 후보는 따로 있다는 주장을 내세우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른 한 지역은 이미 여성 원외 당협위원장이 있는 만큼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당 지도부는 전략공천 지역을 애초 4곳에서 2곳 이상으로 수정하고 해당 지역구 국회의원들을 설득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 외에도 부산, 대구, 경남·북 등 한나라당이 강세인 영남과 분당과 일산 등 수도권 주요 지역 역시 여성 기초단체장에 대한 전략공천이 지역구 의원들의 난색 표명으로 진척이 거의 없다.
당의 한 핵심 관계자는 "해당 지역구 의원들이 반대하는 표면적 이유는 유권자들이 싫어한다는 것이지만 속내는 자기들이 원하는 사람으로 구청장을 시키겠다는 것"이라며 "여성 공천 필요성에는 동의하면서도 막상 자신의 지역은 안된다는 것은 이율배반적"이라고 비판했다.
민주당과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등 야당도 현실이 녹록지 않다.
민주당은 여성 후보자에게는 공천 심사에서 20%의 가산점을 주고 수도권에서는 3명 정도 범위에서 여성 기초단체장 전략공천도 검토하고 있지만 여성 후보자는 극소수에 불과하다.
4년 전 지방선거 때 기초단체장에 도전장을 내밀었거나 이번에 기초단체장 후보로 거론되던 여성 후보들도 당선 가능성을 감안해 도의원으로 선회하고 있다.
민주당의 경우 그나마 서울 종로구와 강북구, 은평구, 마포구 4곳에서 5명의 여성 후보가 단체장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지만 경기도 등 대다수 지역에서는 나서는 사람이 없는 형편이다.
진보신당도 전체 후보자의 30%를 여성으로 공천토록 하고 지역에 출마하는 여성 후보에게는 선거비용까지 지원하도록 하고 있지만 인재영입에 진척이 없다.
아주경제 차현정 기자 force4335@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