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교동계 핵심인 한화갑 전 새천년민주당 대표가 15일 '김대중(DJ) 정신' 계승을 내세워 평화민주당(가칭) 창당과 함께 6.2 지방선거 참여를 선언했다.
한 전 대표는 이날 마포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창당 입장을 공식화했다.
그는 창당 선언문에서 "현 민주당은 과거 평화적 정권교체를 이룩하고 정권재창출에 성공했던 민주개혁세력의 본류를 배제한 채 '도로 열린우리당'이 돼버려 한국야당의 정통성을 대변할 자격이 없어졌다"고 주장했다.
특히 "한국 야당의 정통성을 회복하고 국민 지지를 끌어들여 평화적 정권교체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한 새로운 정당의 필요성을 절감했다"며 "소외당한 민주개혁세력에게 문호를 개방, 중도개혁정당을 건설할 것"이라고 밝혔다.
평화민주당은 서울·인천·경기와 광주, 전남북 등 6개 시도지부를 창설하며, 내달 8일 중앙당 창당대회를 갖고 6월 지방선거 체제로 본격 전환할 예정이다.
신당은 이번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의 텃밭인 호남에 집중할 것으로 보여 경쟁이 불가피해졌다.
민주당으로선 친노 신당파의 국민참여당 창당에 이어 또 한 번 '분화'를 겪는 셈이어서 지방선거에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다만 호남에서 파괴력을 지닐지는 미지수다. 지난 13일 권노갑 김옥두 이훈평 장성민 전 의원 등 동교동계 인사 14명이 가진 회동에서도 논란 끝에 김경재 한영애 최재승 전 의원 정도만 신당에 참여하는 것으로 가닥이 잡혔다.
신당에 참여하는 김경재 전 의원은 서울시장과 전남지사 출마를 저울질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한 전 대표가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검찰 수사를 받고 있는 점도 평화민주당의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그는 민주당 대표 시절인 지난 2006년 지방선거 때 전남도의원 공천을 신청한 2명의 후보자로부터 각각 3억원씩 공천헌금을 받은 혐의로 지난 10일 검찰의 소환조사를 받았다.
만약 한 전 대표가 검찰에 기소돼 유죄 판결을 받는다면 평화민주당은 자리도 잡기 전에 위기를 맞게 된다.
하지만 이번 지방선거에서 민주당 공천을 받지 못한 무소속 당선자들을 흡수하면 구 민주당과 자유선진당처럼 특정 지역을 기반으로 소수당으로서 생존할 것이란 전망도 적지 않다.
아주경제 서영백 기자 inch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