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 비전과 3대 목표 및 5대 추진전략 개념도. |
정부가 오는 2015년까지 국가공간정보정책에 약 4조4000억원을 투자키로 했다,
국토해양부는 이 같은 내용의 '제4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안)'이 지난 10일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해 오는 16일부터 시행한다고 15일 밝혔다.
또 비전과 목표 실현을 위해 △상호협력적 거버넌스 △쉽고 편리한 공간정보 접근 △공간정보 상호운용 △공간정보 기반통합 △공간정보 기술 지능화 등 5대 추진전략과 함께 49개의 세부 실천과제를 설정했다.
정부는 이를 위해 오는 2015년까지 △상호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에 1조300억원 △쉽고 편리한 공간정보 접근 900억원 △공간정보 상호운용에 1300억원 △공간정보 기반 통합에 1조9000억원 △공간정보기술 지능화에 8000억원 △기타 3700억원 등 약 4조40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번 제4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이 성공적으로 추진되면 국가공간정보 유통통합 포탈서비스를 통해 언제 어디서든 네트워크에 접속해 공간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또 저이산화탄소 녹색성장의 기반인 정밀한 공간정보 생산을 통해 정보의 이동이 자유로운 유비쿼터스도시(U-City) 등 다양한 활용분야에 적용이 가능해진다. 더불어 온실가스 감축 등 국제 환경규제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기본계획 마련으로 그동안 관계중앙부처·지방자치단체 등 각 기관에서 산발적으로 진행해 온 국가공간정보구축사업이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을 것"이라며 "새로운 국가성장동력 산업으로 국내 공간정보산업이 더욱 활기를 띨 전망"이라고 말했다.
아주경제 유희석 기자 xixilif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