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인천도개공에 따르면 지난 5일까지 도화구역 내 토지, 지장물, 영업권에 대한 1차 보상협의를 진행한 결과 보상협의율이 5~10%대에 그치고 있다.
토지는 13만9721㎡ 가운데 7160㎡(5.1%), 지장물은 1만1632건 가운데 761건(6.5%), 영업권은 96건 가운데 10건(10.4%)만 협의가 끝나는 등 주민 대부분이 보상가가 낮다며 협의를 집단거부하고 있다.
인천도개공은 2차 보상협의 안내문을 보내고 이달 안에 아파트와 상가 우선 분양권 공급 등 이주·생활대책을 발표, 주민들의 적극적인 보상협의 참여를 유도할 방침이지만 전망은 밝지 않다.
시는 이에 따라 협의에 응하지 않는 토지, 지장물, 영업권에 대해서는 오는 4월 중순부터 중앙토지수용위원회에 재결신청을 내고 수용절차를 밟을 예정이어서 주민과의 마찰이 우려되고 있다.
또 인천시 개발 관련 시민모임인 '삶의 자리'가 도화지구 재개발사업 전면 재검토를 촉구하고 나섰다. 사업성이 없는 베드타운에 불과한 아파트 건립이 아니라 인천대 송도캠퍼스 이전비 등을 충당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삶의 자리' 관계자는 "인천시와 인천도시개발공사가 예전에 실패한 재개발사업을 그대로 답습, 보상단계에서 한 발짝도 앞으로 나가지 못하고 있다"며 "조만간 도화지구 재개발사업에 대한 대안을 마련, 공개할 예정인 만큼 지금까지의 계획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도화구역 도시개발사업은 2조6000억여 원을 들여 도화동 인천대 옛 캠퍼스 터 등 36만7000㎡에 2014년까지 6306가구의 아파트와 상업·업무·문화시설을 짓는 프로젝트다.
아주경제= 한경일 기자 wow@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