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금융 지원을 위해 정부와 금융권, 재계가 손잡고 진행 중인 미소금융에 일부 은행들이 참여를 꺼리거나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어 눈총을 받고 있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18개 은행장들은 지난달 말 저신용자 지원을 위해 설립된 '미소금융재단'에 2015년까지 2500억원을 출연키로 합의했다. 이는 7000억원 가량의 휴면예금 출연과는 별도다.
기부액은 대체로 규모가 큰 은행일수록 많으며 상대적으로 작은 은행은 기부 규모도 적은 편이다.
하지만 은행 규모가 큰 데도 일부 은행들이 기부금을 내는 데 인색하게 굴고 있다.
국내에 진출한 대표적인 외국계 은행인 SC제일은행은 미소금융중앙재단에 25억원을, 한국씨티은행은 23억원을 기탁키로 했다.
이는 가장 많이 출연하는 하나은행(438억원)이나 산업은행(379억원), 신한은행(376억원), 우리은행 (321억원)의 15~18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은행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대구은행(65억원), 부산은행(53억원), 광주은행(32억원) 등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규모다.
외국계 은행들은 미소금융사업이 '비수익사업'인 데다 자체적으로 다양한 서민 지원 활동을 벌이고 있어 굳이 대규모의 자금을 출연할 이유가 없다는 입장이다.
외환위기 당시 정부의 부실채권정리기금에 자금을 출연했다가 이후 배당이익을 제대로 못 받았던 기억도 미소금융사업 참여를 꺼리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정부가 주도하는 사업에 대한 불신이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SC제일은행의 경우 정리금융공사로 넘어갔다 재매각되는 과정에서 배당금이 모두 정리금융공사로 돌아가는 바람에 배당금을 한 푼도 받지 못했다.
수출입은행도 미소금융중앙재단에 30억원만 기탁키로 하는 등 미소금융 참여에 소극적인 모습이다. 이는 같은 국책은행인 산업은행의 13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수은 관계자는 "수은은 기본적으로 수신 기능이 없고 자본 잉여 규모가 크지 않아 대규모의 자금을 특별히 출연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한편 국민 신한 우리 하나 기업 등 국내 5대 은행들은 중앙재단 기부 이외에 행내 유보금을 활용해 자체 미소금융재단을 설립하고 있다.
하지만 산업 외환 등 일부 대형 은행들은 미소금융중앙재단에 기부금만 낸 채 적극적인 개입을 꺼리고 있다.
특히 산은의 경우는 미소금융재단을 설립할 경우 △은행 이미지 제고 △마이크로크레딧을 통한 수익 창출 △리테일 영업 기반 확충 등의 현실적인 이득을 꾀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산은 관계자는 "최근 재무건전성이 악화된 기업에 대한 구조조정 진행이 한창인 데다, 민영화를 앞두고 있어 신규 사업을 벌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ykkim@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