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지향형 서비스 연구개발사업 시급"

2009-12-28 08:24
  • 글자크기 설정

제조업과 서비스의 융합 등 새로운 형태의 수출 모델이 부상함에 따라 서비스 부문의 본격 수출을 위한 '서비스 연구개발(R&D) 사업'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원장 김석준)은 28일 '서비스 수출을 위한 서비스 R&D 정책 방향'이란 제목의 보고서에서 "한국은 '하드웨어 제품'만 있고 '서비스'는 없는 구조적 취약점을 갖고 있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STEPI의 온라인 정책자료집 '이슈&폴리시'에 실린 이 보고서는 "올 3분기까지 상품수지는 400억 달러 흑자를 보인 반면 같은 분기의 서비스 수지는 100억 달러 이상의 적자를 보였다"며 제조업에 집중된 한국의 수출 구조를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눈에 보이지 않는 무형의 서비스를 '공짜' 또는 '거저'로 인식,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체계적인 혁신 및 R&D 활동이 부족하고, 세계 최초로 혁신적 서비스를 국내 일부 기업이 연구개발하고도 '글로벌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로 전환하지 못해 서비스 수출에 실패했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독일 정부의 서비스 R&D 사업을 소개하면서 우리나라에도 서비스 R&D 수행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신설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특히 서비스 R&D 사업은 독일의 사례와 같이 특정 개별 기업의 수출을 지원하기보다는 산업 단위의 수출을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독일 정부는 서비스 수출을 위한 서비스 R&D 사업을 시행, 지난 2006년 기준으로 서비스 수출과 국제화 영역에 476억 원(2천8백만 유로)을 지원했다.

보고서는 우리나라의 경우 상대적으로 강점을 보유하고 있는 전자정부, 대중교통 등의 공공 서비스를 공적개발원조(ODA)와 연계해 한국형 서비스 수출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향후 우리나라의 서비스 R&D 정책 방향으로 수출지향형 국가 서비스 R&D 사업 시행, 서비스 R&D를 통한 '글로벌 서비스 개발'과 '글로벌 서비스 플레이어” 육성 등을 제시했다.

이번 보고서는 STEPI 홈페이지(www.stepi.re.kr)에서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아주경제=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