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 원자력발전소가 들어선 지 30년만에 초대형 블록버스급 ‘대박’을 떠트린 것이다.
그러나 이번 쾌거는 금액적으로 환산해서 NF쏘나타급 자동차 200만대 또는 30만t급 초대형 유조선 360척을 수출하는 효과 정도로만 단순 해석할 순 없다.
앞으로 세계적으로 약 1200조원 규모의 신규 원전시장이 형성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이를 감안할 때 이번 원전수출은 그 물꼬를 튼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또 원전설계코드, 원자로냉각재펌프(RCP) 등 일부 핵심기술은 여전히 해외 주요 원전공급사에 의존하고 있어 원전의 기술자립도를 높여 나가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27일 한국이 수주한 아랍에미리트(UAE) 정부의 원전 560만Kw(140만Kw급 4기) 건설사업권은 공사규모만 200억 달러에 이른다.
뿐만 아니라 향후 60년동안의 원전운영과 연료공급, 폐기물처리 등 모든 과정을 일괄 공급하기 때문에 총 공사대금은 400억 달러에 달한다.
400억 달러는 우리나라의 최고 수출 효자품목인 자동차(NF쏘나타급) 200만대를 수출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또 에어버스 A380 120대를 수출하는 것과 맞먹는 규모다.
향후 10년동안 진행될 사업기간을 고려할 때 연인원으로 11만명에 달하는 고용창출 효과도 기대된다. 단순한 원자력발전소 건설공사 사업권이 아니라는 얘기다.
또한 세계 원전시장은 ‘원전 르네상스 시대’의 도래를 앞두고 있다.
현재 세계적으로 원자력발전소는 36개국에서 436기가 운영되고 있다. 유럽에 197기, 북미 122기, 아시아 109기, 남미 6기, 아프리카 2기가 각각 운영중이다.
전세계 발전설비의 약 15%를 원자력발전이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온실가스 감축과 석유의존도 완화 등을 위해 원전의 필요성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특히 아시아와 중동신흥국 중심으로 원전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다.
![]() |
||
◆ UAE원전 건설 부지 |
이에따라 세계 원전시장은 2030년까지 430기의 신규 원전이 건설될 것으로 추정정된다. 무려 1200조원에 달하는 거대시장이 형성될 예정이다.
이처럼 세계 원전시장의 확대가 예상됨에 따라 원전 선진국 업계간에는 제휴∙통합 등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또 주요 원전공급사들은 신형 원자로(제3세대 원전)의 개발을 완료하고 본격적인 수주활동에 나서고 있을 정도다.
그린피스 등 세계 환경단체들도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경제적 에너지원으로써 원전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실제로 원자력발전은 이산화탄소 배출이 전혀 없다. 연료비 비중도 타 발전원료보다 낮아 국내 발전원 중 발전단가가 가장 저렴한 편이다.
이와 관련 김영학 지식경제부 차관은 “이번 UAE 원전수출은 한국형 원전의 첫 해외수출 성공사례라는 점에서 향후 우리나라가 원전산업 수출강국으로 부상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는 데 의미가 더 크다”고 말했다.
그러나 아직 우리나라는 해결해 나가야 할 과제들도 많다.
우리나라의 원자력발전소 건설 및 운영의 기술자립도를 100%까지 끌어올리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원자력 발전소를 해외에 수출하기 위해서는 원전의 기술자립도가 매우 중요하다. 해외로 원전을 수출할 때 발주자가 원전기술이전을 요구하면 기술 공급사의 동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원천기술을 갖고 있는 공급사는 자사의 핵심기술이나 마찬가지인 원천기술을 넘겨주지 않기 때문에 기술자립도가 확보되지 못하면 해외 원전입찰에 원천적으로 배제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원전설계코드, 원자로냉각재펌프(RCP), 원전제어계측장치 등 일부 핵심기술을 제외한 95% 정도의 자립기술도만 갖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가 95%에 이르는 원전 기술자립도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단 한번도 해외에 원전을 수출한 적이 없었던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또 원전 도입국의 수요, 수출가능성 및 사업환경 등을 고려한 맞춤형 수출전략을 수립해 입찰에 도전하는 것도 중요하다.
특히 터키, 요르단 등 원전 도입계획이 가시화된 신규 원전시장을 중심으로 민관 합동 역량을 집중하는 것이 필요하다.
업계 한 관계자는 “향후 원자력발전의 원활한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미자립 핵심기술과 토종 신형원전 개발을 조기에 완료하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한 과제”라고 지적했다.
아주경제= 박재붕 기자 pjb@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