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3일 서울 용산구 한강로3가 용산철도정비창 부지 및 서부이촌동 일대 53만3115㎡를 용산국제업무지구 도시개발구역으로 지정했다.
이에 따라 사업 시행자인 용산역세권개발은 내년 상반기 사업인정 고시를 거쳐 보상계획 및 이주 대책을 수립하는 등 본격적인 토지보상 작업과 인허가 절차에 들어갈 예정이다.
토지 수용 등이 차질 없이 진행될 경우 2011년 7월 실시계획 인가 후 그해 12월 착공, 2016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대림아파트 등 서부이촌동 한강변 아파트 일부 주민들이 여전히 통합개발을 강력히 반대하고 있어 향후 사업 추진과정에 적잖은 난항이 예고되고 있다.
◆어떻게 개발되나
용산국제업무지구는 동아시아를 대표하는 국제업무지구를 목표로 명품 수변지구로 개발될 예정이다. 중심에는 지역 랜드마크로 부상할 665m(106층) 규모의 드림타워(가칭)가 들어선다. 오피스와 호텔 등으로 구성될 이 빌딩은 2016년 말 준공될 예정이다.
주변에는 업무시설 12개동, 주거시설 8개동(3000여 가구), 6성급 호텔 2곳, 쇼핑몰, 백화점, 컨벤션센터가 조성된다.
특히 랜드마크 주변 250m 이하, 그 외 지역 100~150m로 높이제한을 두고 강변에는 중·저층 배치를 유도해 한강 조망권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또 원효대교에서 한강대교를 잇는 강변북로는 지하화돼 한강으로 접근할 수 있는 공간이 개방된다.
한강예술섬~여객터미널~국제업무단지~용산공원~남산을 잇는 수변경관과 인근 녹지공간이 함께 어우러지도록 개발된다.
시는 용산 개발이 완료되면 36만명의 고용 효과가 창출되고 연간 1억4000만명의 유동 인구를 끌어모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해결해야할 과제는?
통합개발을 위해서는 서부이촌동 일대 주민들과 충돌 없이 동의를 끌어내야 한다. 현재까지 2200여가구 중 50%가구 가량이 동의를 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주민들의 반대가 계속될 경우 사업 추진에 차질을 빚을 수 밖에 없다.
서울시 관계자는 "동의율 50%만으로도 토지수용권을 행사할 수 있어 사업 추진이 가능하지만 최대한 주민 동의를 끌어내 원만하게 협의하겠다"며 "보상가도 적정수준보다 높게 책정됐기 때문에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자금조달도 문제다. 전체 사업비 28조원 중 절반 가량인 13조원이 사업 단계마다 때 맞춰 조달돼야 한다. 그러나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시장이 여전히 경색돼 있는 상황이라 쉽지 많은 않다.
용산역세권개발 관계자는 "사업비 절반 가량은 PF로 조달할 예정이고 나머지는 2~3년 후 부터 시작되는 분양을 통해 자체 조달할 예정이어서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주경제= 권영은 기자 kye30901@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