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블랙홀'로 인해 지역 금뱃지들이 밤잠을 설치고 있다.
충청권에 이어 울산과 부산 등 경남지역과 대구·경북지역 등 전국 곳곳에서 세종시 특혜 논란이 일고 있어 지역 국회의원들은 주민들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특히 세종시 수정안을 추진하고 있는 한나라당 친이(친이명박) 진영은 더욱 긴장하고 있다.
세종시 '기업 몰아주기'로 지역경제가 고사위기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는 여론이 형성되면서 수정안에 찬성했던 지역여론이 원안 고수쪽으로 기울고 있어서다.
최종안 이후에도 지역여론의 반발이 확산될 경우 정치적으로 큰 역풍을 맞을 가능성도 있다.
또 영남 지역 의원들을 중심으로 내년도 지역 국비예산을 최대한 확보해야 한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세종시 수정에 따른 지역의 각종사업이 차질을 빚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친이계인 이철우 의원(경북 김천)은 "세종시가 새로운 떡을 만들어서 먹어야지, 내가 먹으려는 떡을 뺏어가면 안 된다"며 "롯데 맥주공장을 김천에 유치하기 위해 뛰어다녔는데, 정운찬 총리의 한 마디에 세종시로 간다는 보도를 보고 어이가 없었다"고 말했다.
다른 친이 의원은 "세종시에 기업들이 다 가면 다른 지역은 도대체 뭘 먹고 살라는 말인지 모르겠다"며 "차라리 세종시가 원안대로 가는 게 맞을 것 같다"고 했다.
반면 정부의 수정안에 반대하는 의원들도 긴장하기는 마찬가지다. 정부의 수정안이 본격 현실화되면 자신의 지역 기업 투자나 유치가 어려워질수도 있다는 판단에서다.
친박(친박근혜)계 영남 의원들은 세종시 원안 고수를 못박아버린 박근혜 전 대표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도 조금씩 내고 있다.
한 친박의원은 "세종시에 영남 지역 기업이 이전한다는 이야기가 나돌고 있다"며 "여권 주류가 마음먹고 세종시를 지원함으로써 지역에 기업을 유치하지 못하면 민심은 나빠질 수밖에 없다"고 우려감을 표했다.
야권도 마찬가지다. 지금까지는 반세종시 연대로 주민들의 지지를 받아왔지만, 충북 오송의료복합단지, 새만금 군산경제자유구역개발과 군산공항 국제선 취항 등의 프로젝트에서 소외되면 다음번 선거를 기약할 수 없는 처지가 된다.
특히 연말 종합실천계획 확정을 앞둔 새만금사업은 국정현안에서 잊혀지고 있어 이런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이들은 세종시 수정안 반대에 총력을 펼치고 있는 상황이다.
민주당 박지원 정책위의장은 "다른 곳에 투자해야 할 것을 세종시로 가져오면 그 도시는 어떻게 되겠는가"라며 "정부는 가지 않고 기업만 가라고 하고 그것도 강압적으로 하기 때문에 한 두개 기업은 검토하겠다고 하지만 많은 기업들이 반발하고 있다"고 했다.
아주경제= 이나연 기자 ny@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