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정부에 따르면 오는 9일 하토야마 유키오 일본 총리가 서울에서 이명박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는데 이어 10일에는 중국 베이징에서 한·중·일 정상회담이 예정돼 있다. 회담 성과에 따라 동북아 지역 현안의 갈피가 결정된다.
앞서 4일 북한을 전격 방문한 원자바오 중국 총리는 이날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과 회동을 갖고 북핵 문제와 양국 관계 발전 방안 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뒤따라 열리게 되는 한·일 정상회담과 한·중·일 정상회담에서도 전 세계적 관심사인 북핵 문제를 포함한 동북아 정세와 3국간 공조방안 등이 논의될 예정이다. 세계 경제 회복 방안이 핵심 의제였던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와 선진 7개국(G7) 재무장관·중앙은행장 회의 등에 집중됐던 시선이 이번주엔 한반도와 베이징으로 쏠리게 됐다.
초미의 관심사는 역시 북핵 문제다. 6자회담으로 상징되는 다자대화 틀에서 벗어나 미국과의 양자대화를 주장해 온 북한의 태도 변화 가능성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원 총리와 김 위원장이 이날 논의한 내용은 한·중·일 정상회담에서 공유될 가능성이 커 정상회담의 논의 수준을 결정짓는 가늠자가 될 전망이다.
9일 서울에서 열리는 한·일 정상회담도 의미가 각별하다. 하토야마 총리의 방한은 총리 취임 이후 양자 외교 차원에서 이뤄지는 첫 해외 방문이다. 이날 회담에서는 양국관계 발전 방안과 한반도 및 지역정세, G20을 비롯한 국제무대에서의 협력 등 상호 관심사가 주요 의제로 논의된다. 하토야마 총리가 과거 정권에 비해 과거사에 대해 진일보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만큼 일왕 방한 문제도 논의될 것으로 점쳐진다.
3국 협력 10주년을 맞아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담에서도 북핵 문제를 비롯한 지역 정세가 핵심 의제로 떠오를 전망이다. 특히 이 대통령이 최근 제안한 ‘그랜드 바겐’을 통해 한국이 한반도 비핵화 논의에서 주도권을 잡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그랜드 바겐은 6자 회담에서 북한 핵 프로그램을 사실상 폐기하는 대가로 북한에 안전을 보장하고 재정을 지원하는 일괄타결 방식이다.
이밖에 회담에서는 3국간 공조 강화를 통해 ‘포괄적협력동반자 관계’를 확인하는 한편 동북아 지역 협력과 평화 번영 방안 등도 심도 깊게 논의될 예정이다.
아주경제= 김신회 기자 raskol@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