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주한 외국인 투자기업 500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에서 가장 투자가치가 높은 산업을 묻는 질문에 응답 기업의 23.4%가 '에너지·환경 산업'이라고 답했다.
그 다음으로는 반도체(18.1%), 정보통신(12.2%), 의약·바이오(12.1%), 디스플레이(10.9%), 자동차(10.9%) 등이 꼽혔다.
상의는 "녹색산업에 대한 정부의 강력한 정책집행 의지와 국내 기업들의 높은 관심 등이 외국인들로부터 주목을 받으면서 에너지·환경 산업의 투자 가치가 높게 평가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전체적인 투자환경은 싱가포르와 홍콩 등 경쟁국보다 열악하다고 외국 기업들은 인식하고 있었다.
투자 인센티브 제도와 행정규제 완화도, 법제도 일관성 등 7개 분야의 투자환경을 5점 척도로 평가한 결과 우리나라는 평균 2.84점을 기록했다.
이는 중국(2.74점)보다는 다소 높지만 싱가포르(3.79점)나 홍콩(3.62점), 대만(3.19점)보다는 낮은 점수이다.
우리나라의 분야별 투자 인프라에 대한 평가는 IT·정보화 부문이 5점 만점에 4.00점으로 가장 높았고 인적자원 수준은 3.61점, 투자수익성은 2.98점 등으로 매겨졌다.
외국계 기업들은 올해 연말까지 국내 투자환경에 대해서는 '현재와 비슷할 것(44.7%)'이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외국인 투자를 이끌어내기 위한 효과적인 정책을 묻는 질문에는 절반 가량인 48.7%가 '법인세 감면 등 조세지원'이라고 답했고 '산업입지 지원'(23.4%), '보조금 지급 등 재정지원'(15.1%) 등의 응답이 뒤를 이었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