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금융은 이제 정치·경제·산업·사회 등 모든 분야를 아우르는 총체적 화두이자 신(新) 성장동력입니다."
23일 아주경제신문 주최로 서울 프라자호텔에서 열린 '뉴 글로벌 경제 패러다임과 녹색성장 국가전략' 심포지엄에서 박재하 한국금융연구원 부원장은 녹색금융 개념에 대해 이 같이 말고 녹색금융이야말로 고부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 |
||
23일 '뉴 글로벌 경제 패러다임과 녹색성장 국가전략' 심포지엄에 참석한 박재하 금융연구원 부원장은 "녹색성장이 글로벌경제의 신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박 부원장은 "정부는 녹색금융을 통해 환경보호라는 전 세계적인 이슈에 동참할 수 있고, 저탄소 녹색성장을 통해 경제성장을 도모하는 등 글로벌 금융위기 극복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기업은 녹색금융을 통해 새로운 사업기회를 만들어 투자 포트폴리오를 확대할 수 있고 이는 결국 일자리 창출로 이어져 소비자에게 혜택이 돌아간다"고 덧붙였다.
박 부원장은 미국과 유럽을 포함한 선진국들이 녹색성장에 막대한 재정을 지원하는 만큼 우리나라도 녹색금융에 대한 인식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또 녹색금융 발전을 위해 단기적으로는 정부의 지원이 선행되어야 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시장 메커니즘에 따라 운용될 수 있도록 자생력을 길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 부원장은 "녹색금융의 발전 단계에 맞춰 시장 메커니즘에 의한 지원 폭을 점진적으로 확대해야 한다"며 "다만 국내 녹색금융이 아직 걸음마 단계에 있는 만큼 단기적으로는 정부의 역할이 중요할 수 있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는 상장지수펀드(ETF)와 같은 파생상품 등 녹색지수 개발을 통해 녹색금융 상품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고 그는 주문했다.
박 부원장은 녹색금융 발전을 위한 법제 정비도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았다.
탄소배출권 선물 및 선도계약은 파생상품의 한 종류로 금융투자상품에 포함된 것처럼 보이지만, 탄소배출권 현물에 대해서는 법적 규정이 명확치 않다는 설명이다.
그는 "우리나라는 포스트 교토체제에서 의무감축국으로 편입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탄소배출권 시장 설립을 통해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박 부원장은 녹색기업 및 녹색금융에 대한 정보를 원활하게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녹색기업에 대한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자금을 효율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정보 접근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며 "'녹색기업 인증제도'를 도입해 금융권이 녹색금융상품을 개발할 때 녹색기업에 대한 정보를 수시로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박 부원장은 녹색금융 혜택이 일부 녹색기업 및 기술로 쏠리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미 시장에 진입해 있는 기업에만 자금 지원을 집중할 것이 아니라 후발 주자라도 유망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에는 안정적인 자금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이미호 기자 miholee@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