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찬 국무총리 후보자는 22일 인사청문회에서 과거의 비판적인 시각과 달리, 정부의 정책에 동조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 명확한 근거 자료를 내놓지 못한 채 질문과 다른 답변을 해 한나라당 정의화 청문위원장으로부터 "나중에 충분히 기회를 줄 테니 질문 내용에만 답해달라"는 제지를 수차례 받아야 했다.
정 후보자는 4대강 살리기 사업과 관련해서 "4대강 사업에 대해서는 부정적이지 않다"며 "예전에 정부의 녹색성장정책을 비판한 것은 단기적 안목에서 정책을 추진할 것이 아니라 장기적 안목에서 해야한다는 뜻이었다"고 말했다.
"4대강이 대운하와 어떤 점이 다르다고 생각하는가. 3가지로 답해달라"는 민주노동당 이정희 의원의 질의에 정 후보자는 "대운하는 경제성이 없고 4대강은 경제성이 있다" "대운하에 들어가는 비용과 4대강 비용의 차이가 있다"며 같은 말을 반복했다.
정 후보자는 또 인터넷 서점 '예스24' 고문 겸직으로 인한 국가공무원법 위반 의혹에 대해서 시인했다가 다시 번복해 물의를 빚기도 했다.
"국가공무원법상 겸직할 때 해당 장의 사전 허가를 받아야 하지만, 정 후보자는 그렇지 않아 절차상 하자가 있다"는 이 의원의 질문에 "지금 말한 게 확실하다면 그렇지(법을 위반한 것이) 않겠느냐"며 법 위반을 인정했다.
그러나 한나라당 나성린 의원이 "영리성이 약한 고문에 대해서는 아무런 조항이 없다"며 정 후보자를 두둔하자, 정 후보자는 즉시 "이 의원의 말이 맞다면 국가공무원법 위반이겠죠라고 답했지, 법 위반을 인정한 것은 아니다"고 입장을 바꿨다.
반면 자신의 소신을 밝힐 때는 당당하게 의견을 피력했다.
정 후보자는 "총리직을 발판삼아 나중에 기회가 되면 당적을 바꿔서 대선후보가 되는 생각은 안하느냐"는 한나라당 차명진 의원의 질의에 "대통령 생각이 전혀 없다"고 말했다.
정 후보자는 '딴 생각말고 중국의 원자바오 총리처럼 하라'는 조순 전 부총리의 조언을 인용하면서 "대선후보를 한번도 생각해본적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총리로서 내 목적은 하나밖에 없다. 국가와 국민을 받들고 섬기고 봉사하는 것"이라며 "최종 목적은 사회·국가의 발전"이라고 했다.
정 후보자는 지난 대선 때 대선후보 출마 제의를 받은지에 대해 "민주당에서 대통령 (후보로) 나오라고 제안한 적이 한번도 없다"고 일축했다.
교육관과 관련, 정 후보자는 "대학은 어떤 학생을 뽑아서 무엇을 가르칠지 자율성이 있어야 한다"며 "한국 교육이 이제라도 늦지 않았으니 모방형 인간보다는 창조형 인간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대학입시에서도 창조형 학생을 입학시켜야 한다"며 "수업도 초등학교 때부터 세미나 등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주경제= 이나연 기자 ny@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