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분기에 반도체·조선 업종은 실적 호조가 예상되는 반면 자동차와 건설, 기계업종은 부진할 것으로 전망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0일 '주요 업종의 3분기 실적 및 4분기 전망조사'에서 이같이 밝혔다.
상의는 반도체의 경우 국내 반도체 기업의 메모리 시장 점유율 상승으로 4분기 수출과 생산이 전년동기대비 각각 48.7%, 49.6% 증가한 90억달러, 11조원에 달할 것으로 분석했다.
조선업종도 고부가 선박 출하 증가로 지난해에 이어 수출 1위 품목에 오를 것으로 조사됐다. 4분기 수출과 생산은 전년대비 각각 34.2%, 18.3% 늘어난 437만CGT(표준화물선 환산톤), 154억달러를 기록할 전망이다.
반면 개별소비세 인하 등 일부 세제혜택 종료로 유인효과가 감소되면서 자동차업종은 부진한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상의는 2분기 36만대로 정점을 찍은 자동차 내수판매가 4분기에는 26만대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수출 부문은 해외생산 확대로 국내 수출 물량이 감소해 전년동기대비 33.7% 감소한 47만대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과 기계업종 역시 공공 건설 상승세 둔화와 일반 기계업체의 투자여력 부족으로 전망이 어둡게 나타났다.
전자업종의 경우 고사양 제품 중심으로 내수 판매 회복세가 기대돼 전년대비 6% 증가한 40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다. 수출 부문은 디스플레이패널, 자동차부품 등 전장품의 호조에 힘입어 전년대비 29% 늘어난 350억달러에 달할 전망이다.
철강업종은 내수와 수출 모두 상승세로 전환될 것으로 상의는 분석했다. 상의 관계자는 "철강업종의 실적 호조는 지난해 실적 급락에 따른 기저효과가 많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수출 부문에서는 중국 등 공급과잉으로 경쟁이 심화될 경우 수출가격 하락이라는 부작용이 우려된다"고 설명했다.
아주경제= 변해정 기자 hjpyun@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