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환경부는 AI매몰지 주변 지역주민의 먹는물 안정성 확보 및 지하수 수질보전을 위해 지난해 4월부터 올 5월까지 매몰지 주변 지하수의 수질을 측정한 결과, 81개 조사관정 중 1회 이상 수질기준을 초과한 관정이 50개소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방환경청을 통해 전국 389개 매몰지 중 81개 관정에 대해 질산성질소, 대장균, 일반세균, 암모니아성질소, 염소이온 등 5개 항목을 조사했다.
또 매몰지에서 관정까지의 평균 이격거리는 120m이고, 파악이 가능한 관정(49개) 중 허가·신고된 시설은 20%이며, 1개 관정당 평균 10회를 조사했다.
관정의 지역분포를 보면, 부산 2, 울산 1, 강원 2, 경기 13, 충남 9, 전북 26, 전남 20, 경북 6, 경남 2이고 용도별로는 음용수 56%, 농업용수 26%, 생활용수 17%, 공업용수 1% 등 이었다.
조사 결과, 수질기준 초과항목은 질산성질소가 41%(185/456), 대장균은 33%(151/456), 일반세균 25%(116/456), 암모니아성질소 1%(4/456)로 각각 나타났다. 염소이온은 기준을 초과하지 않았다.
환경부는 오염확산 개연성이 높은 매몰지(환경관리공단의 15개 매몰지에 대한 지하수 환경영향조사결과 8개소에서 침출수 누출 의심)에 대해서는 정밀조사를 추진 중이다.
정읍, 김제 등 3개 매몰지에는 9개 관정을 별도로 설치해 지하수오염 확산의 인과관계조사도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이번 조사지역 이외에도 오염이 의심되는 매몰지 주변에 대해서는 오염도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지하수 오염의심지역 주민들에게 상수도공급, 소규모 수도시설 보급 등을 통해 지하수로부터의 건강영향이 없도록 조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주경제= 박재붕 기자 pjb@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