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세계투자회사협회에 따르면 1분기 현재 우리나라 펀드 수는 9512개로 전세계 44개국 가운데 1위였다. 룩셈부르크(9196개), 프랑스(8240개), 미국(851개), 브라질(4302개), 일본(3376개)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반면, 우리나라 펀드 순자산 규모는 2293억 달러로 14위에 그쳤다.
미국이 9조2436억달러로 1위를 차지했고, 2위는 룩셈부르크(1조7422억달러), 3위는 프랑스(1조5384억달러)가 각각 차지했다.
전세계 펀드시장에서 우리나라 펀드 비중은 펀드 수 기준 14.2%였지만, 순자산규모는 1.3%에 불과했다.
1분기 현재 국내 개별펀드 1개당 순자산 규모는 2400만달러로 44개국 평균 2억7000만 달러의 10%도 안됐다.
효율적인 투자를 할 수 없는 소규모 펀드가 이른바 '난립'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운용 규모가 작은 소위 자투리 펀드 청산 문제는 수년째 논의 되고 있지만, 운용사와 판매사, 투자자간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어 쉽게 결론을 내지 못하고 있다"면서 "법적으로 이를 강제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자투리펀드 청산이 실질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문진영 기자 agni2012@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