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부양책의 후유증으로 세계적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국내물가에도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의견이 고개를 들고 있다.
소비자 가격 상승에 큰 영향을 끼치는 국제유가만 해도 최근 급등세로 돌아섰기 때문이다.
◆해외 인플레, 국내 물가상승률 2.2%↑
전문가들은 대체적으로 당장은 경기부진 상황인 만큼 인플레가 가시화되진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나 문제는 그 이후다.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 수장들은 세계 경제 회생이 여전히 취약하다면서도 경기 부양책의 후유증으로 급격한 인플레에 빠져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미 국제유가는 배럴당 70달러로 올랐고 금, 알루미늄, 구리, 아연 등 2차금속도 전월 대비 급등세로 돌아섰다.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투기수요가 오르기 시작한 것이다.
투기수요가 많아지면 자연히 원유 등 원자재값이 올라 소비자물가 상승을 피할 수 없다.
조경엽 한국경제연구원 경제연구본부장은 “이 상태에서 경기가 회복되면서 수요가 증가하면 국내 물가에 그대로 반영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경제연구소 한 관계자도 “현재의 유통이 유지되고 경제가 과거처럼 정상화 될 경우 과거 통화유통속도나 유동성 흡수가 미처 안 될 부분도 있다는 점 등 모든 면을 고려해 볼 때 물가상승률은 2.2%”라고 예상했다.
더욱이 우리나라는 해외변수에 취약한 경제구조다. 특히 미국에서의 인플레는 국내에 심각한 타격을 준다.
인플레로 금리가 인상되면 수입물가 상승은 물론 국내 부동산 가격 및 증시 하락으로 이어져 경기회복에도 찬물을 끼얹을 수 있기 때문이다.
유병규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본부장은 “우선 달러화 가치의 하락으로 하향 안정화 되던 국제 원자재 가격이 오름세로 반전될 수 있다”며 “미국 물가가 불안해지면 금리가 인상될 수밖에 없고 자연히 수입 물가는 상승한다”고 지적했다.
◆물가상승 대비책 있나
결국 해외 인플레가 지속되면 해외의존도가 큰 우리나라로서는 타격이 큰 만큼 대처할 수 있는 일도 극히 제한적이다. 이에 따라 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선제적 조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된다.
조 본부장은 “예전부터 강조돼 왔지만 해외발 물가상승은 우리가 능동적으로 할 수 있는 일이 제한적이라서 에너지 저소비형 사회구조 전환 등이 신속하게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국내 경제 구조부터 건실히 해야 인플레를 맞더라도 타격이 없다는 지적도 인다.
현정택 인하대 국제통상학부 교수는 “해외에서 투기성 자금이 풀린다고 당장 우리나라 물가엔 직접적인 영향은 없을 것”이라면서도 “다만 현재는 인플레 우려 보다 경제가 살아나느냐에 주력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예를 들어 투기가 우려되는 부동산은 가격경쟁력을 키우고 기업은 지금 거품을 빼둬야 하는 등 실물자산 축적에 나서야 물가상승으로 인한 후폭풍도 적다는 것이다.
이밖에 신제윤 재정부 차관보도 “국제 인플레 대비가 필요하다”며 국제사회에 유동성 흡수방안을 촉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광석 기자 novu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