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 8시 30분부터 50분까지 약 20분간 진행된 통화에서 이 대통령은 "1차 북한 핵실험때 북한이 오히려 국제사회와의 대화가 재개되는 등 보상을 받았던 경험을 우리가 참고할 필요가 있다"며 "이번에도 비슷한 패턴이 반복되지 않도록 국제사회가 긴밀히 공조해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정부의 PSI(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 전면참여 결정과 배경을 설명했고, 오바마 미 대통령은 "PSI 참여 결정에 대해 매우 기쁘게 생각하고 환영한다. 다른 PSI 참여국들도 환영할 것"이라면서 "한국의 참여가 매우 중요하다. 국제적인 지도력을 보여준 데 대해 높이 평가한다"고 밝혔다.
오바마 미 대통령은 또 "북한에 대해 유엔 안보리 차원에서 강력한 결의안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구체적인 결의를 만들어내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한미동맹은 굳건하다. 미국의 군사력과 핵우산이 한국을 보호할 수 있을 만큼 확장돼 있으며 확고하다"며 "한국국민들에게 분명히 전달하고 싶다. 북한지도자들도 이 점을 분명히 알았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그는 "6월 워싱턴 한미정상회담 때 추가로 대북문제 포함한 주요 현안 논의하겠지만 그에 앞서서라도 이슈가 있다면 언제든지 전화 통화를 하자"고 말했다.
이에 앞서 오바마 미 대통령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에 대해 "한국민에게 애도의 뜻을 전하고 싶다. 굉장히 슬픈 사건이었다"고 밝혔으며, 이 대통령은 "감사하다. 유족에게도 전하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어제 아소 다로 일본 총리와 전화통화를 한 데 이어 오후에는 케빈 러드 호주 총리와 통화를 갖고 북한 핵실험에 대한 공동대응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