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25일(현지시간) 북한의 2차 핵실험에 대해 "안보리 결의 1718호를 명백히 위반한 것으로 강하게 반대하고 규탄한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순회 안보리 의장을 맡은 비탈리 추르킨 유엔 주재 러시아 대사는 이날 안보리 긴급회의가 끝난 후 공식 발표문을 통해 전례 없이 강한 어조로 북한의 핵실험을 비난하면서 "신속히 대북 제재 조치를 마련하는 작업에 착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유엔 외교관들은 신속한 대북 제재 조치 마련 작업와 관련, "법률적으로 구속력을 지닌 새로운 결의안 채택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안보리가 제재 논의를 착수하는 시점에서 이처럼 강도높게 해당 국가를 비난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고 유엔 관계자들은 전했다.
추르킨 의장은 이날 3개항의 발표문에서 "안보리 회원국들은 북한의 핵실험에 대해 강력하게 반대하고 규탄한다"며 "북한의 핵실험은 명백한 안보리 결의안 위반"이라고 규정했다.
안보리는 또 발표문에서 북한이 기존 결의안 1695, 1718호는 물론 새로운 내용도 충실히 이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기존 결의안은 북한에 추가 핵실험을 금지하고 6자회담으로 조속히 복귀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안보리 대북 결의안 채택 움직임과 관련, 다카스키 유키오(高須行雄) 유엔 주재 일본 대사는 이날 안보리 긴급회의를 마친 뒤 "북한의 핵실험은 전 세계를 향한 도발적 행위"라면서 "안보리 내에서 현재 결의안 초안을 작성 중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일본 등의 요구로 소집된 이번 안보리 긴급회의는 15개 이사국이 참석, 이날 오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개최됐다.
우리나라는 안보리 이사국은 아니지만 관련국으로서 이날 안보리 긴급회의에 앞서 오후 3시15분부터 미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 중국 등 5개 안보리 상임이사국 및 일본과 회의를 갖고 대응방안을 미리 협의했다. 이 회의에 이어 안보리는 당초 예정보다 30분 늦은 오후 4시30분께부터 긴급회의에 들어갔다.
정은선 기자 stop1020@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