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가계대출에서 변동금리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급증하고 있다. 금리가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져 대출 수요자들이 고정금리보다 상대적으로 금리가 낮은 변동금리로 갈아탔기 때문이다.
하지만 경기가 회복돼 금리가 상승 기조로 바뀔 경우 이자상환 부담이 커져 가계에 부메랑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18일 한국은행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신규 가계대출에서 변동금리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91.8%를 기록했다. 이는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1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앞서 지난해 2분기에는 90.0%, 3분기 87.2%, 4분기 90.9%를 기록한 바 있다. 같은 기간 고정금리 대출 비중은 8.2%를 보였다.
이처럼 변동금리 대출이 급증한 것은 한국은행이 지난해 10월부터 올 2월까지 기준금리를 2.25%포인트 내리면서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가 큰 폭으로 하락했기 때문이다.
같은 기간 변동금리 대출의 기준이 되는 CD금리는 5.96%에서 2.43%로 3.53%포인트 떨어졌다. 지난 6개월간 시중금리 인하로 줄어든 가계의 이자 부담은 4조4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가계대출 잔액이 이어진다고 가정할 때 금리가 상승할 경우 지난 6개월간 줄어든 이자가 다시 부담으로 돌아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은행들이 신규 대출금리를 책정할 때 CD금리에 최대 3%대의 가산금리를 더한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경기회복과 함께 변동금리가 9%대로 상승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지난해 10월 CD금리는 6%대를 기록했다. 최대 3%대의 가산금리가 적용되면 변동대출 금리는 9%대를 기록하게 된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오는 4분기 금리를 인상해야 한다는 보고서를 발표하는 등 이르면 연내 금리가 상승 기조로 돌아설 가능성이 높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금리 상승시 가계에 부담이 될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면서 "최근 CD금리에 가산금리가 많이 붙어있는 상황에서 단기금리를 조정한다면 가계 부담은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경기가 회복된다해도 실제로 가계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일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한은 관계자는 "변동금리 비중 확대를 부정적으로만 볼 수는 없을 것"이라며 "고정금리 대출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변동금리 대출을 선택했다는 사실도 감안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민태성 기자 tsmin@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