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경제대책회의서 ‘기업구조조정’ 계획 확정
이명박 대통령은 30일 미진한 기업 구조조정에 대해 “옥석을 가려서 구조조정을 할 기업들이 빨리 구조조정이 돼야 건실한 기업들이 살아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여의도 금융위원회에서 현장비상경제대책회의를 갖고 “글로벌 경제위기가 진행되고 있는데, 최근 경제지표가 다소 개선되고 외국 금융기관들이 긍정 평가를 하고 있다는 이유로 조금 버티면 구조조정을 피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기업들이 있을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소극적이고 단기적인 판단을 하지 말고 정부의 구조조정 책임자들이 몸을 던지는 희생정신과 역사적 인식을 갖고 오직 결과로 평가받겠다는 자세로 일해달라”고 주문했다.
특히 “지금 정부가 하는 일은 그동안 금융기관이 저지른 것을 뒷바라지 하는 것”이라며 “최고의 대우를 받으면서 소극적인 자세로 일을 해선 안된다”고 질타했다. 향후 고강도 구조조정이 예상되는 대목이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은 이날 회의에서 ‘기업구조조정 추진계획’을 확정했다.
정부 계획에 따르면 정부 계획에 따르면 채권은행들은 5월부터 신용위험 기본평가에서 불합격한 400여개 대기업에 대해 세부평가를 착수, 6월까지 평가를 마무리한다. 금감원에 따르면 평가 대상 기업 1422곳 중 400여곳이 기본평가에 불합격해 주채권은행의 세부평가를 받아야 한다.
또 금융감독원은 오는 7월 채권은행들에 대해 현장 검사를 통해 채권단 평가의 적절성 여부를 직접 확인한다. 45개 주채무계열 대기업 집단 중 현금 유동성이 좋지 못한 10여곳에 대해서는 계열사 매각 등 강도 높은 구조조정이 진행된다.
또 재벌 그룹들에 대한 구조조정도 속도감 있게 추진된다.
주채무계열 기업집단 중 재무구조가 열악한 기업집단은 5월까지 채권은행과 재무개선약정(MOU)를 맺고, 자체 구조조정에 나서야 한다. 채권단에 따르면 14개 기업집단이 불합격 판정을 받았고 10여개 그룹이 주채권은행과 MOU를 맺는다.
김종창 금감원장은 “아직 구체적 안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주채권 은행의 대응이 미흡할 경우 (채권은행) 기관장에 대한 엄중한 책임을 묻겠다”고 경고했다.
송정훈 기자 songhddn@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