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에 대한 구조조정이 본격화하고 부실책임이 있는 기업 경영진의 기업회생절차 남용에 대한 강력한 제재가 이뤄질 방침이다.
채권은행들은 45개 주채무계열 대그룹 재무구조평가에서 14곳에 불합격 판정을 내린데 이어 신용공여 500억원 이상의 1500개 대기업에 대한 신용위험 평가에 본격 착수할 방침이다.
금융위원회의 금융감독원은 30일 5월말 재무구조개선약정을 체결해 대기업그룹에 대한 구조조정을 본격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금감원은 주채권은행을 통해 금융권 차입 규모가 큰 대기업그룹을 매년 주채무계열로 선정해 관리한다.
개별 대기업에 대한 구조조정은 6월말 평가완료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금융당국은 부실기업 경영진의 기업회생절차 남용에 대해서는 강도 높은 제재를 가할 계획이다.
김종창 금감원장은 이날 "부실 책임이 있는 기업 경영진이 기업회생절차를 남용한 경영권 유지를 방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원장은 이날 기업구조조정 추진 계획을 마련한 비상경제대책회의를 마치고 최근 워크아웃을 추진하던 일부 업체가 경영권 유지 등을 위해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고 지적했다.
김 원장은 "부실 책임이 있는 경영진이 관리인으로 선임되지 않도록 채권금융기관이 법원에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하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기업그룹의 구조조정과 관련 김 원장은 주채권은행이 불합격 그룹과 재무구조개선 약정을 맺고 이행실적을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감독당국은 추진 상황을 밀착 점검하고 주채권은행의 대응이 미흡할 시 엄중하게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밝혔다.
신용공여액 500억원 이상인 개별 대기업의 신용위험평가와 관련 경영실적이 양호하더라도 급격한 신용도 악화가 우려될 경우 세부 평가 대상에 포함시키도록 할 것이라고 김 원장은 말했다.
금감원은 오는 7월 채권단에 대한 현장 검사를 통해 대기업 신용위험평가의 적절성 여부를 철저히 감독하기로 했다.
민태성 기자 tsmin@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