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GM대우 회생·정책 현실성 따라 승패 좌우
4·29재보선 공식 선거운동이 16일 시작된 가운데 여야는 최대접전지역인 인천 부평을에 화력을 집중, 공약과 정책의 현실성에 따라 승부가 갈릴 전망이다.
한나라당은 전 지식경제부 차관 이재훈 후보의 실무경험을 강조하는 동시에 ‘경제는 여당’ 인식 확산에 주력하기로 했다.
반면 민주당은 GM대우 출신 홍영표 후보가 지역을 잘 안다는 점, GM대우 회생을 위한 추경집행·특별법 제정 등을 검토할 방침이다.
한나라당은 이날 최고위원회의를 부평에서 갖고 지도부 전체가 이 후보 선거사무소 개소식에 참석하는 등 당력을 총동원 했다.
특히 지역 최대현안인 GM대우 회생을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선 172석 거대여당의 힘이 필요조건이라는 점을 내세웠다.
홍준표 원내대표가 “이 후보를 선택하면 그에 걸맞는 당정 차원의 대책을 세워줄 것을 약속한다”고 선언한 데 이어 허태열 최고위원도 “GM대우 문제를 풀 역량을 가진 당은 한나라당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임태희 정책위의장의 경우 “이 후보는 GM대우 살리라고 당이 특별히 내세운 만큼 그가 가진 아이디어를 중앙당이 최대한 뒷받침 하겠다”고 힘을 실어주었다.
이에 맞서 민주당지도부도 부평에서 최고위를 열고 보다 상세한 GM대우·지역경제 회생대책을 쏟아냈다.
특히 정세균 대표는 “GM대우와 협력사를 지원하기 위해 추경에 6천500억원의 예산을 반영하겠다”며 “GM대우가 근본적으로 회생할 수 있도록 특별법 제정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송영길 최고위원의 경우 “한나라당이 낙하산 공천해서 GM대우를 살리겠다는 것보다 이 지역을 아는 민주당 후보(홍영표)로 지역 입장을 대변하고 일자리를 지켜야한다”며 홍 후보에 힘을 실어줬다.
여야가 모두 인천 부평을에 당력을 쏟는데도 불구하고 지역 유권자들과 여론의 반응은 시큰둥하다.
한나라당의 경우 현실성 있는 구체적 GM대우 회생방안이 없고 민주당이 주장하는 ‘특별법’도 표심을 잡기 위한 선심성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한 지역업계 관계자는 “어차피 GM대우 최대주주인 미국GM의 파산보호 신청여부가 결정될 6월1일까지는 정부도 구체적 지원책을 섣불리 결정할 수 없다”며 “법제화보다는 추경예산 처리, 산업은행을 통한 저리융자 등 비교적 간단하고 현실적인 지원책을 내놓아야 민심을 얻게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안광석 기자 novus@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