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농림수산식품부는 ‘농촌다문화 후계세대 육성방안에 관한 연구’ 결과를 발표, 이 같이 전망하고 대책 마련에 나섰다.
우선 농식품부는 영농에 종사할 수 있는 30~40대 이주여성농업인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적응 및 성장단계별 농업인력화 중장기 로드맵을 마련했다.
진입단계(0∼3년)에서는 농업에 대한 이해 증진 및 농업인 자긍심을 고취할 수 있도록 기초 영농교육을 실시하고, 이후 정착단계(3∼5년)는 여성농업인으로 연착륙 할 수 있도록 현장실습 중심교육, 지역네트워크, 영농환경조성과 수요자 중심의 직업능력개발 및 농외소득활동 등이 지원된다.
마지막으로 성장단계(5∼10년)에서는 전문농업인력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농업경영교육이 실시되고 농관련 사업 창업이 지원될 계획이다.
정부가 발표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조사대상 농촌 여성결혼이민자의 70%이상이 35세 미만의 젊은 여성이고, 50%이상이 고졸이상 학력으로 인적자원측면에서 활용 가능성과 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남편이 농업인인 농촌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우 80%이상이 집안 농사일에 참여하고 있어 상당수 이주여성농업인이 농가의 주요 농업인력으로서 역할을 이미 수행하고 있었다. 아울러 이들은 영농지속 의향과 농촌거주 의향도 높고 영농교육 참여의향도 50%이상으로 농사일을 배우고자 하는 의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한국 거주기간이 3년 이상이거나 40∼50대 중장년 여성결혼이민자의 농사일 참여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캄보디아·베트남·중국 출신의 농사일 경험자의 경우 향후 농업인력화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됐다.
김영남 maha@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