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들이 정부의 서민지원 정책에 부응하기 위해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인하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거래 실적에 따른 우대금리를 확대하고 무소득자 등에게 적용되는 가산금리를 줄이기로 했다.
그러나 가산금리 인하 혜택을 받을 고객층이 많지 않아 생색내기용 금리 인하 방안이라는 지적도 일고 있다.
30일 은행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다음달 1일부터 거래 실적에 따른 우대금리 한도를 기존 0.0~0.6%포인트에서 0.3~0.9%포인트로 확대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기존에 우대금리 혜택을 받지 못했던 일반 고객들도 최소 0.3%포인트의 금리 인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
이와 함께 신한은행은 무소득 고객(0.2%)과 담보 종류(0.3%), 소액대출(1.5%)의 경우 부과되는 가산금리를 모두 폐지하기로 했다.
담보 종류에 따른 가산금리는 아파트보다 담보가치가 떨어지는 연립, 빌라, 다세대 주택에 부과되며, 소액대출 가산금리는 500만원 이하 서민 대출에 적용되는 것이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서민 주거안정을 위해 기존 대출 고객의 금융부담을 완화해주는 방안들을 실시해왔다"며 "이번 금리 인하는 신규 대출 고객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국민은행도 다음달 1일부터 주택대출 금리를 최대 1.0%포인트 인하할 계획이다.
신규 대출 고객에 대한 판매 마진을 0.3%포인트 일괄 인하하고 소득 대비 대출금 규모가 큰 고객에게 적용되는 0.3%포인트의 가산금리도 폐지하기로 했다.
또 전용면적 60㎡이하 소형주택을 구입하는 고객에 대한 근저당권설정비용을 은행이 부담키로 했으며 주거래 고객에 대한 우대금리를 기존 0.1%포인트에서 0.3%포인트로 확대하기로 했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이번 금리 인하 조치로 주택대출 금리가 5%대에서 4%대로 낮아질 것"이라며 "금리 인하에 따른 수익 감소분은 내부 비용절감 등을 통해 충당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중은행 관계자는 "빌라 등 리스크가 크고 담보가치가 떨어지는 주택 소유자는 전체 대출 고객 중 소수에 불과해 가산금리 인하에 따른 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라며 "은행이 감수해야 할 손실도 많지 않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저소득층이 은행권 대출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금리를 낮췄다고 하지만 여신 심사 등을 통해 이들을 얼마든지 걸러낼 수 있다"며 "이번 금리 인하 조치가 서민 가계에 얼마나 도움이 될 지는 미지수"라고 덧붙였다.
한편 우리은행과 하나은행 등은 주택대출 금리 인하를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이재호 기자 gggtttppp@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