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가 기획재정부 소속 고위간부들의 재산에도 영향을 끼쳤다.
27일 관보에 게재된 공직자 재산변동 현황에 따르면 기획재정부 소속 고위간부들의 재산이 적게는 2000만 원에서 많게는 4억여 원까지 감소했다.
기획재정부 허경욱 1차관은 8억1536만 원에서 7억302만 원으로 1억1234만 원 줄었다. 펀드 평가손실과 생활비 지출에 따라 예금이 3억5586만 원에서 2억2860만 원으로 줄었기 때문이다.
이용걸 2차관도 40억1875만원에서 38억5715만원으로 1억6160만 원이 감소했다. 송파구 오륜동에 본인과 어머니가 각각 소유한 아파트 가격이 모두 20억7200만 원에서 19억2800만 원으로 1억5000만 원 가까이 줄었다.
이수원 재정업무관리관 겸 청와대 비상경제상황실장도 11억9000만 원으로 2250만 원 가까이 줄었다. 신제윤 국제업무관리관 역시 9억4602만 원으로 1000만 원 이상 줄었다.
윤영선 세제실장은 감소폭이 가장 컸다. 18억9376만 원에서 14억7583만 원으로 4억1793만 원이나 줄어들었다. 예금이 펀드 평가손 등의 영향으로 11억40000여만 원에서 6억3000여만 원으로 5억 원 가량 감소했다. 주가 하락으로 주식 평가액도 1600만원 줄었다.
반면 노대래 차관보는 13억2260만 원으로 종전보다 3716만 원 증가했다. 김대기 통계청장은 15억3967만원으로 2억1000만원 가까이 늘었다.
한편 윤증현 재정부 장관 및 류성걸 예산실장, 김교식 기획조정실장 등은 지난 2월초에 취임해 이번 재산공개 대상에서는 빠졌다. 이들은 수시재산공개 대상자로 4월경에 재산이 공개될 방침이다.
김한나 기자 hanna@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