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 여파로 은행 경영진의 인센티브 반납이 줄을 잇고 있는 가운데 스톡옵션 등 인센티브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전국금융산업노조는 23일 공식 성명을 통해 "경영진에 대한 인센티브 제도가 금융기관의 위기를 자초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주주에게 거액을 배당한 후 그 대가로 경영진이 스톡옵션을 받는 현행 제도를 유지할 경우 금융기관 경영진이 단기 실적에 치중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에 따른 손실은 고스란히 노동자들에게 전가된다.
양병민 금융노조 위원장은 "노동자에게는 일자리 나누기 차원에서 임금 동결 및 삭감을 요구하면서 경영진이 뒤로 거액의 스톡옵션을 챙기려 했다는 것은 코미디"라며 금융기관 경영진을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스톡옵션과 스톡그랜트 등의 인센티브 제도가 금융기관과 경영진을 위험도가 높은 무한 경쟁으로 내몰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김상조 경제개혁연대 소장은 "공적 자금을 받은 은행들이 과도한 스톡옵션을 부여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면서도 "국내 은행들의 스톡옵션 설계는 비교적 건전한 상태"라고 평가했다.
김 소장은 "인센티브 제도는 성과를 개인에 대한 보상과 연계해 주주 및 회사의 공동 이익을 창출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라며 "우수한 성과를 낸 경영진에게 적정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최근 금융기관 경영진이 여론에 밀려 스톡옵션 등을 반납하고 있지만 적정한 수준의 인센티브를 받았다면 무리하게 반납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김 소장은 "다만 금융권의 스톡옵션 제도가 적절하게 설계돼 있는지, 과도하게 부여되고 있지는 않은지 등은 점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강소영 기자 haojizhe@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