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울산매일신문이 한길리서치연구소에 의뢰해 현대자동차 근로자 771명을 대상으로 '현대차 임금 및 단체협상 전망과 현안'에 대한 설문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 허용오차 ±3.5%P) 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
반면 응답자의 26.9%는 '회사가 고용을 보장하더라도 임금 동결을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이 조사에 따르면 올해 임단협 관심 분야로는 고용보장이 78.1%로 가장 많았으며, 뒤이어 임금인상(8.6%), 기업경쟁력(6.6%), 복지확충(5.6%) 순이었다.
금속노조의 산별교섭과 관련해서는 응답자의 33.7%가 '산별교섭을 유보하고 현대차 임단협을 해야한다'고 답했다. '조합원 투표를 통해 산별교섭이든 임단협이든 협상방식을 택해야한다'(30.2%), '총고용을 보장할 경우 무교섭으로 노사협상을 마무리해야한다'(18.8%), '산별교섭과 임단협을 모두 해야 한다'(14.1%)로 각각 나타나 부정적인 시각이 82.7%에 달했다.
산별교섭과 임단협을 모두 해야 한다는 의견은 14.1%에 불과했다.
또 임단협 과정에서 파업 찬반투표가 실시될 경우 전체 응답자의 47.3%가 '반대하겠다'고 답했으며, 12.1%는 답변을 유보했다. '찬성 의견'은 40.6%에 그쳤다.
노사현안인 전주공장의 주간연속2교대 시범시행에 대해서는 46%가 '현실적인 상황을 고려해 시행시기를 유연하게 조절해야 한다'고 답해 '무조건 시행해야 한다'(35.1%)는 의견보다 10% 포인트 이상 차이를 보였다.
자동차시장 전망에서는 응답자의 39.6%가 '올해를 넘기면 좋아질 것'이라고 답했다. 뒤이어 '향후 2∼3년간'(27.4%), '예측하기 힘들다'(17.9%), '향후 5년간'(1.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노사관계에 대한 국민의 부정적 여론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35.3%가 '파업자제'를 꼽았으며, 29.4%는 '노사화합 선언', 17.4%는 '사회공헌'이라고 답했다.
변해정 기자 hjpyun@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