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제부는 9일 "영흥발전소 등 3곳의 바닷가 인근 화력발전소 부지를 활용해 내년까지 풍력발전기 10기를 세울 계획"이라고 밝혔다.
보통 화력발전소는 안전 등 이유로 발전설비가 들어서는 자리보다 훨씬 큰 면적의 대지를 확보하고 있어 풍력발전기를 설치하기 쉽다는 것이 지경부의 설명이다.
또 단지조성 인허가 등 각종 행정 절차를 밟는 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주민 반대 등 걸림돌도 적다는 것도 장점이다.
내년까지 2~3㎽급 대형 풍력발전기 10기를 두산중공업, 현대중공업 등 업체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100% 국산 기술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국내 상용 풍력발전기 146곳(작년 말 기준) 가운데 국산은 단 1기에 불과하고, 이마저도 750㎾의 중형급이다.
지경부는 올 초 이와는 별도로 지방자치단체와 손잡고 올해 안산 누에섬과 인제, 영월 등지에 총발전용량 24MW 규모의 풍력발전기 26기를 설치한다는 계획도 내놨다.
지경부는 이를 통해 국산 풍력발전기의 트랙 레코드(설치 실적)를 확보함으로써 해외 수출 기회도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수요를 의무화하는 신재생 에너지 의무할당제(RPS)를 2012년부터 도입할 방침이어서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 수요는 대폭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강남훈 지경부 자원개발정책관은 "현재 풍력발전 부품 자립도는 80~90%에 달하지만 완제품은 국산이 거의 없다"며 "정부보급사업을 중심으로 국산제품을 채택하면 우리 업체들의 경쟁력이 올라갈 것"이라고 말했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