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해운특집] 글로벌 침체 장기화, 국제교역 위축 초래

2009-02-12 02:17
  • 글자크기 설정

   
 
  [사진설명] 대우조선해양 도크 진수 모습.
글로벌 조선산업의 불황에도 불구하고 현재 한국은 글로벌 리더로서의 지위를 누리고 있으나 5∼10년 후에는 주도권을 유지한다는 것은 불확실하다는 전망이 나왔다.

이는 경쟁력의 원천이 패러다임을 변화시킬 만한 기술혁신이라기보다 대형 도크를 기반으로 한 건조부문의 우수인력과 기술력이기 때문이다.
경쟁상대국 조선업체들이 정부의 강력한 지원을 받아 대규모 투자를 하고 다양한 건조경험을 축적하면 한국의 위상도 줄어들 가능성이 높아진다.

현재로서 최대 잠재적 위협국가는 중국으로 떠오른다. 그동안 한국의 경쟁자였던 일본은 이제 경쟁자로서 지위를 상실했다. 일본내 조선소 신·증설이 어려워 중국이나 동남아 등으로 이전 중이고 조선소 인력마저도 노후화 조짐이 뚜렷해진 것이 이를 뒷받침했다.

반면 중국은 원가경쟁력과 일본으로부터의 기술유입 등을 발판으로 급성장하고 있는데다 중국정부도 2015년까지 세계 1위 조선강국을 목표로 조선산업을 적극 육성하고 있다.

중국정부는 국제경쟁력을 갖춘 조선소 육성을 위해 조선소 통폐합을 통한 대형화와 각종 세제혜택을 부여하고 있다.

글로벌 경기침체 장기화 추세를 보이는 가운데 세계 각국이 자국 산업 보호라는 명분 아래 각국이 보호주의와 무역시장 축소 분위기로 변모했다.

특히 금융위기 이후 해상물동량 감소, 선가 하락 등으로 이중고를 앓고 있는 해운업계는 보호주의 확산시, 수출입 물동량 감소가 불가피해 현 침체기가 더욱 길어질 수 있다는 평가다.

인도는 철강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올리고 인도네시아가 몇몇 품목에 한해 수입항구와 수입업자를 제한하는 등 세계 각국이 앞다퉈 자국산업 보호책을 내놓았다.

한광석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원은 “보호주의가 불거진 근본원인은 시장만능주의의 실패”라며 “각국 정부가 대규모 재정지출과 구제금융을 통해 시장에 개입, 일정부분 보호주의가 불가피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는 해외직접투자 감소로 실물경기가 위축을 받고, 신용장 발행이 어려워지면서 국제교역량도 줄어들 것이라는 설명이다.

게다가 금융보호주의로 해외직접투자가 감소하고 각국이 자본금 회수에 나서면 항만 터미널 인수합병과 항만개발 투자 등에도 영향을 미쳐 항만업계 위축도 불가피해진다.

그는 “보호주의로 국제교역량이 줄어들면 해운항만업계를 둘러싼 환경도 크게 변화할 것”이라며 “지난해 상반기까지 해운경기 호황이 중국과 인도 등 브릭스(BRICs) 국가의 성장에 기인한 것을 감안할 때 보호주의 확산으로 해운침체기가 길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준성 기자 fresh@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