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하에도 시중 유동성 증가세 ↓

2009-02-11 14:42
  • 글자크기 설정

  은행들이 대출을 기피하면서 당국의 금리인하 조치에도 불구하고 유동성 증가세가 꺾이고 있다. 반면 기업대출은 올해 들어 증가세를 보였다.

   1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08년 12월중 통화 및 유동성 지표 동향'에 따르면 작년 12월 광의통화(M2.평잔)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13.1% 늘어나면서 전월의 14.0%에 비해 증가율이 크게 낮아졌다. 올해 1월에는 12% 내외로 급락한 것으로 한은은 추정했다.

   M2 증가율은 작년 5월 15.8%에서 7개월째 둔화세를 지속하고 있다.

   광의통화에 만기가 2년 이상인 예.적금 등을 포함하는 금융기관 유동성(Lf.평잔) 증가율은 작년 12월 10.4%로 전월보다 1%포인트 하락했다. 총유동성을 보여주는 광의유동성(L.말잔)도 같은 기간 11.5%에서 10.6%로 증가세가 큰 폭으로 둔화했다.

   한은은 기업대출을 중심으로 민간신용 증가세가 크게 둔화함에 따라 통화.유동성 증가율이 하락한 것으로 분석했다.

   올해 들어서는 계절적인 요인 등으로 기업대출이 증가했다.

   `2009년 1월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예금은행의 기업대출 잔액은 전월보다 5조 9000억 원 늘었다. 대기업 대출은 3조 3000억 원, 중소기업 대출은 2조 7000억 원이 각각 증가했다.

   기업대출 증가액은 작년 10월 7조 3000억 원에서 11월에는 3조 5000억 원으로 `반토막'이 났고 12월에는 아예 감소세(-6조6000억 원)로 돌아섰다.

   한은 금융시장국의 김현기 차장은 "작년 말 일시상환됐던 자금이 다시 대기업 대출로 나가고 설자금 지원과 부가세 납부수요로 중기 대출도 늘어나는 등 계절적 요인이 크게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달 1조 7000억 원이 감소했다. 가계대출이 줄어든 것은 작년 1월(-7000억 원) 이후 처음이다. 설 상여금 지급 등으로 마이너스통장 대출 수요가 크게 줄어든 데 따른 것으로 한은은 분석했다.

   한편, 당국의 유동성 공급으로 채권 금리가 떨어지면서 채권발행을 통한 기업 자금조달은 비교적 활발해졌다. 일반기업의 회사채(공모) 순발행은 지난달 4조4000억 원으로 월간 기준으로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고 기업어음(CP) 순발행도 12월 1조6000억 원에서 1월 4조7000억 원(1월 20일 기준)으로 확대됐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