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중)한강변 초고층 아파트 넘어야 할 산 많다

2009-01-20 13:54
  • 글자크기 설정


서울시가 한강 공공성 강화 선언을 통해 한강변 아파트 재건축 시 최고 층수를 50층까지 허용하는 대신 부지의 25%를 시에 내놓으라고 한 것이 이번 사업의 넘어야 할 ‘산’이 될 것으로 보인다.

20일 압구정 인터넷114공인 안상문 대표는 “강남3구 투기지역 해제가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는 층수 높아지고 분양물량 많아진다 해도 소형평형과 임대주택의무비율분이 빠지고 남는 일반분양 물량은 얼마 되지 않을 것”이라며 “수익도 없는 사업을 누가 추진하겠느냐”고 말했다.

또 “압구정 재건축 조합은 잇단 계획 무산으로 현재 조합원의 구성조차 돼 있지 않다”며 “이번 발표로 ‘죽어있는 조합’을 깨우기엔 역부족”하다고 말했다.

인근 골드웰공인의 정준민 과장은 “투기지역 해제가 먼저 이뤄지고 이런 발표가 났다면 모를까 현재로서는 입법예고도 되지 않은 ‘조장성’ 발표로 밖엔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재건축사업에 대한 기대를 가졌던 반포주공1단지도 현재 재건축추진위구성단계에 있다.

반포주공1단지 관리사무실의 박혜원 사무원은 “이번 발표로 이전에 세웠던 재건축사업에 대한 구상을 바꾸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단지 내 주민들의 의견 모으기가 쉽지 않아 현재의 흐름을 바꾼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관리 처분시점에서 다시 층수얘기가 거론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포 우리공인 조용호 대표는 “반포주공1단지는 강남권에서도 유일무이한 5층 규모의 저밀도 아파트”라며 "최근 재건축을 반대하는 주민들의 의견을 긍정적인 흐름으로 바꾸는 데 많은 시간이 걸렸다”고 말했다.

이처럼 한 단지 주민들의 의견조율도 어려운 형편에 서울시는 재건축 때 10여개 단지씩을 묶어 광역개발을 유도한다고 밝힌 것이다.

한편, 재건축 추진위 단계에 있는 여의도 시범아파트 관리사무소 담당자는 "1~24동 규모의 여의도 시범아파트 재건축은 앞으로의 계획도 세워지지 않고 현재 보류중"이라며 "초고층 아파트 건립이 허용됐어도 당장 무리한 사업비를 부담할 여력이 없다"고 말했다.

손재승 부동산써브 연구원은 "재건축 개발에 있어서 분명한 호재이긴 하지만 건축비 등으로 인한 부담금이 클 것으로 보인다"며 "용적률에 대한 구체적인 인센티브를 제안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