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경인운하 조감도 |
한강(김포)과 서해(인천)을 잇는 경인운하 건설사업이 오는 3월 닻을 올린다. 이 사업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녹색뉴딜 사업의 핵심인 '4대강 살리기'프로젝트의 전초전 성격을 갖는 만큼 지역사회와 건설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경인운하 건설사업의 기본은 강과 바다를 잇는 '뱃길'을 여는 데 있다. 운하 양 끝단에는 대규모 배후물류단지도 조성된다. 하지만 물류수송은 경인운하의 여러 기능 중 일부분에 불과하다. 그보다는 레저와 관광산업 활성화를 통해 창출될 부대이익에 더 큰 관심이 쏠린다. 서울에서 중국까지 뱃길이 뚫리면 중국뿐 아니라 일본과 동남아 등지에서도 배를 타고 서울 도심으로 들어올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되기 때문이다.
◆서울~중국 뱃길 열린다 = 국토해양부가 최근 확정한 경인운하 사업계획에 따르면 경인운하의 총 길이는 18㎞로 이미 조성된 굴포천 방수로 구간(14.2㎞)을 빼면 한강 쪽으로 3.8㎞만 더 파면 된다. 운하 폭은 당초 계획(100m)보다 좁은 80m로 잡았다.
운하 양 끝단에는 각각 인천터미널(약 280만㎡)과 김포터미널(약 200만㎡)이 들어선다. 인천터미널과 김포터미널 안에는 각각 108만㎡, 74만6000㎡ 규모의 물류단지가 조성되고 화물창고, 분류ㆍ가공ㆍ조립시설, 유통시설 등 부대시설도 조성된다. 양 터미널을 잇는 15.6㎞,왕복 4차선 규모의 제방도로도 건설된다. 이렇게 되면 서울에서 인천 청라지구 등지로의 이동이 수월해 질 전망이다.
그렇다고 터미널이 물류단지 기능만 하는 것은 아니다. 정부는 공원시설과 요트 접안시설 등을 들여 이 곳을 물류ㆍ유통ㆍ레저ㆍ관광 사업이 어우러진 복합 단지로 꾸밀 예정이다. 화물선은 물론 여객선과 유람선, 요트 등 다양한 선박이 서해로부터 서울 도심 한강으로 들어올 수 있는 여건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를 감안해 정부는 경인운하를 운항하는 선박을 기존 2500t급 연안해운선에서 바다와 강을 모두 다닐 수 있는 4000t급 RS선박으로 변경했다. 이 선박은 길이 135m,너비 16m로 최대 250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를 실을 수 있다. 정부는 이 배가 운항할 수 있는 수심(6.3m)을 확보하기 위해 방수로 구간을 평균 1.6m 더 파낼 방침이다.
◆고용 2만5000명, 생산유발 3조원 = 경인운하 건설사업에는 모두 2조2500억원이 투입될 전망이다. 이 가운데 1조6200억원이 본 사업에 쓰이고 배후단지 조성 등에 나머지 6300억원이 투입된다. 정부는 당초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하던 이 사업을 한국수자원공사가 발주하는 공공사업 형태로 바꿔 추진키로 했다. 민간 건설사의 재원 확보가 여의치 않을 뿐더러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조속한 사업 착수가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정부는 경인운하 건설사업이 완료되면 2만5000개의 일자리가 창출되고 약 3조원의 생산유발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운하에 선박을 띄우면 트럭 250대 분량의 컨테이너를 한꺼번에 실어 나를 수 있어 부산~김포 기준 1TEU당 약 6만원의 물류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게 정부의 계산이다.
투자액수가 상당한 만큼 건설업계와 지방자치단체의 움직임도 분주하다. 국내 주택경기 침체로 경영난을 겪고 있는 건설사들로서는 경인운하 건설에 따른 막대한 공사 물량이 가뭄에 단비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경인운하사업에 참여하면 향후 본격화할 '4대강 살리기'사업 수주전에서 좀 더 유리한 고지를 차지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적잖이 작용하고 있다.
지자체들의 상황도 다르지 않다. 경인운하사업이 지역경제에 몰고 올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지자체들도 나름대로 연계사업을 구상하며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인천시는 대규모 요트 정박시설과 테마공원, 레저 시설 등을 조성하고 운하 주변지역에 수변 미니 신도시를 만드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서울시 역시 이미 추진하고 있는 한강르네상스 프로젝트의 일정을 앞당겨 경인운하사업과의 시너지효과를 최대한 끌어낼 계획이다.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