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구택 사의..정치권 개입 논란

2009-01-15 13:05
  • 글자크기 설정
이구택 포스코 회장이 15일 결산 이사회에서 사퇴 의사를 밝히면서 정치권 개입 논란이 일고 있다.

정권이 바뀔 때 마다 포스코 총수가 중도 하차한 선례가 있는 가운데 이 회장 마저 임기가 남아있는 상황에서 돌연 사퇴의사를 표명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 회장 이전에 김만제 전 회장은 김대중 정부 출범 이후 임기 만료 전에 현직에서 물러났고 유상부 전 회장도 노무현 정부 때 돌연 사퇴한 바 있다.

김 전 회장은 1994년 3월 부터 회장직을 맡았는데 김대중 정부가 출범하면서 1998년 3월에 현직에서 물러났다.

또 포스코에서 잔뼈가 굵은 철강 전문가 유 전 회장은 1998년 3월 회장직에 올랐으나 2003년 3월 노무현 정부 시절에 재선임이 유력한 상황에서 물러났다.

이어 내년 2월까지 임기가 1년 남짓 남은 이구택 회장도 이전 총수들 처럼 정권 교체시 마다 현직에서 물러나는 전례를 따르면서 정치권 개입으로 포스코 수장이 바뀌는게 아니냐는 논란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이 회장은 노무현 정부 출범 직후인 2003년 3월 회장직에 올랐으며 2007년 봄에 연임해 내년 2월까지 임기가 1년 남짓 남아있다.

포스코의 지분 구조를 보면 지난 14일 기준으로 뉴욕 은행(Bank of New York 16.18%), 신일본제철(5.04%) 등 외국인 지분이 43.3%에 달한다.

또 지난해 6월말 영업보고서에 따르면 국민연금 4.3%, 미래에셋자산운용 4.2%, SKT 2.85%, 포항공대 2.29%, 기타 43.06%(소액주주, 기관 등)로 돼있어 지분 구조상으로 볼때 정부의 입김이 민영화된 포스코 CEO의 거취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는 없는 듯 보인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민영화가 됐더라도 의사 결정을 주도할 실질적인 주인이 없는 '공기업'이라는 점 때문에 정치권의 입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여기에 이 회장의 경우 이명박 대통령이 취임한 지난해 말부터 검찰이 이주성 전 국세청장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포스코가 세무조사 무마 로비를 벌였다는 혐의를 잡고 수사에 들어간 뒤 사퇴설이 나돌기 시작했다.

검찰 수사는 현재까지 큰 진전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 회장은 회사가 검찰 수사를 받자 상당한 중압감을 느꼈고 이에 따라 사내 핵심임원들에게 사임의사를 밝혔다는 소문이 최근 확산돼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