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당국이 오는 16일까지 건설사와 조선사 중 구조조정 대상을 확정하라는 방침을 은행에 전달했다.
그러나 구조조정 대상 기업에 대한 평가 기준을 놓고 채권 금융기관들이 이견을 보이고 있어 구조조정 작업이 지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일고 있다.
7일 정부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은행권에 92개 건설사와 19개 중소형 조선사를 우선 평가해 구조조정 대상을 확정하도록 통보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시중은행 부행장들을 만나 오는 16일까지 구조조정 대상을 확정하라고 전했다"며 "늦어도 23일까지는 완료될 것"이라고 말했다.
개별 기업 기준으로 금융권의 신용공여액 500억 원 이상이거나 주채권은행의 신용공여액 50억 원 이상인 300여 개 건설사 중에서는 시공능력 상위 100위권 기업이, 50여 개 조선사 중에서는 경영난을 겪는 곳이 이번 1차 심사 대상으로 선정됐다.
은행들은 이들 회사를 신용위험평가기준에 따라 A~D 4개 등급으로 분류하고 이 가운데 부실징후 기업(C등급)이나 부실기업(D등급)으로 분류되면 각각 워크아웃이나 퇴출 절차를 밟게 된다.
우리투자증권은 최근 보고서에서 100대 건설사 중 36% 가량이 C등급이나 D등급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조선사는 심사 대상 중 절반 이상이 구조조정 대상에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나머지 210여 개 건설사와 30여 개 조선사에 대한 평가는 1분기 중으로 마무리할 계획이다.
그러나 구조조정 대상 기업 중 상장사와 비상장사의 평가 기준이 다르고 신뢰성에도 의문이 제기되고 있어 진통이 예상된다.
상장사의 경우 지난 2008 회계연도 3분기 말 실적이 평가 근거가 돼 최근 상황을 반영하기 어렵고 비상장사는 내부 자료 공개를 꺼리고 있다는 지적이다.
또 구조조정 기업을 결정할 때 경영진 평판과 지배 구조 등 채권 금융기관의 주관적인 판단이 작용할 수 있는 조항이 포함된 것도 문제다.
금융권 관계자는 "외환위기 당시에도 기업 구조조정은 쉽지 않았다"며 "주채권은행이 다른 채권 금융기관들과 이견을 조율하는 과정에서 난항을 겪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재호 기자 gggtttppp@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