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엔 환율의 급등으로 이자 부담이 커진 엔화대출자들이 은행과 금융당국을 상대로 집단행동에 나섰다.
'엔화 대출자들 모임' 소속 회원 80여 명은 23일 오후 소공동 한국은행 본점 앞에서 집회를 열고 금융당국이 이자부담 경감에 적극 나서줄 것을 요구했다.
이들은 엔화 상승에 따른 원금 상환부담이 커진데다 은행들이 만기연장시 금리를 높이고 추가담보까지 요구하자 이중고를 겪고 있다며 당국에 이를 시정해 줄것을 요청하고 있다.
엔대모 회원들은 내년 1월 중순까지 한은 앞에서 집회를 벌일 계획이다.
이를 위해 엔대모는 지난 17일 오후 2시경 관할 경찰서인 남대문경찰서에 집회허가신고를 완료했다.
올 초만 해도 100엔당 800원대 중반이었던 원·엔 환율은 꾸준히 상승해 현재 1400원대에서 거래되고 있다. 원화로 이자를 갚아야 하는 상황에서 환율 요인만으로도 이자 부담이 두 배 가까이 급증한 것이다.
여기에 2% 내외였던 대출금리가 최근 8~ 9%로 올랐고, 환율이 오른것을 감안하면 실제 금리부담은 연 16~ 19% 수준이라는 것.
엔대모 측 관계자는 "대출 연장 때 환율 변동에 상관없이 대출 당시의 환율을 기준으로 담보비율을 적용해야 하고, 금융당국은 시중은행의 잘못된 관행을 관리·감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부 은행은 환율이 두 배로 오른 점을 고려해 담보 가치를 절반으로 낮추고 대출의 절반을 신용대출로 돌려 고금리의 신용대출 이자를 부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한은은 "금리나 담보제공 등에 대해서는 당국이 관여할 수 없는 사항"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한은은 엔화대출 기업의 상환 부담 증가를 고려해 두차례에 걸쳐 엔화대출 상환기한을 연장한 데 이어 지난 1일에는 운전자금 외화대출의 상환기한 제한을 폐지했다.
엔대모 회원들은 앞으로 한은 홈페이지 자유게시판과 인터넷 카페를 통해 총재 퇴진운동을 전개하고, 출퇴근을 저지하는 등 단체 행동의 강도를 높여갈 계획이다.
변해정 기자 hjpyun@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