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놓은 4대강 정비사업이 한반도 대운하 재추진을 위한 사전포석이 아니냐는 의혹이 확산되는 와중에 친(親)대운하 지지 모임인 ‘부국환경포럼’이 공식출범했다.
특히 대운하 추진 주무부처인 국토해양부 차기 장관으로 유력시되는 류우익 전 대통령실장이 부국포럼의 발기인으로 참여한 것과 관련해 청와대가 포럼 출범에 적극 개입한 것 아니냐는 주장도 전방위로 제기되고 있다. 청와대와 부국포럼의 밀월이 본격 시작됐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여권 핵심관계자는 “명칭만 바뀌었지 4대강 정비사업이 대운하를 사실상 추진하는 것이 아니겠느냐”며 “대운하 재추진 논란이 일고 있는 시기에 부국포럼이 출범한 것은 청와대와 사전 교감 하에 이뤄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부국포럼에는 지난해 한반도 대운하 추진과 관련해 실무총책이던 박승환 전 의원을 비롯, 친이계인 차명진, 강승규, 진수희 의원 등과 류 전 실장이 발기인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 포럼은 내달 전남, 경남, 부산, 대구 등 우선 4대강 유역을 중심으로 지역 조직을 정비한 뒤 내년 2월 중순 총회를 거쳐 전국적인 환경단체로 활동하면서 4대강 정비사업 및 대운하 지지활동을 벌여나갈 계획이다.
안국포럼 출신인 강 의원은 최근 “한반도 대운하에 대한 홍보를 본격적으로 시작할 때가 왔다”며 “대운하가 아닌 다른 이름으로라도 이 사업은 현정부 임기내 마무리져야 한다”고 강조해왔다.
특히 지난 10월 28일 이상득 의원과 비공개 회동을 가지면서 차기 국해부 장관으로 유력시되고 있는 류 전 실장이 부국포럼에 적극 참여하고 있는 것도 청와대와의 사전교감설에 힘을 실어주는 대목이다.
이에 청와대측은 “부국포럼은 순수한 환경단체일 뿐”이라며 확대해석을 경계하고 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정부가 추진할 예정인 4대강 정비사업은 대운하와는 무관한 것”이라며 “부국포럼은 대운하 추진을 지지하는 의원, 시민단체 관계자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것으로 우리와 관계 짓는 것은 억측”이라고 해명했다.
관계자는 또 청와대가 대운하 논란에 휩싸이자 외곽지지모임을 출범시킨 것 아니냐는 의혹에 대해 “지금 같은 시대에 관변단체를 대통령이 나서서 만들 수 있느냐”며 “대운하에 반대하는 그룹도 인정하지만, 찬성하는 그룹도 인정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 송정훈 기자 songhd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