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그룹의 조선 부문 계열사인 C&중공업 이 27일 워크아웃을 신청함에 따라 국내 중소형 조선소들의 구조조정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전남 목포에 위치한 C&중공업은 그동안 3조원 이상의 벌크선 60여척을 수주한 상황에서 금융기관으로부터 1천700억원의 시설 자금을 조달받지 못해 조선소 건설 및 선박 건조에 차질을 빚어오다가 결국 워크아웃 신청에까지 이르게됐다.
자기 자금 1천500억원, 해외 자본 350억원을 투입했지만 금용 기관에서 자금을 받지 못해 사업 영위 자체가 어려운 상황으로 내몰렸기 때문이다.
전남권 신설 중소형 조선소의 대표격인 C&중공업 뿐 아니라 다수의 중소형 조선소들도 현재 금융권에서 자금 조달을 하지 못해 존폐의 기로에 직면해있다.
금융권이 자금 대출을 거부하고 있는 것은 올해 세계 조선경기가 작년에 비해 하강 국면을 보이면서 수주량이 줄어들자 중소형 조선소들의 사업성이 불투명하다고 판단, 대출이나 RG(선수금환급보증) 리스크를 줄이기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조선.해운 시황분석 전문기관인 클락슨에 따르면 지난해 1∼8월 전 세계 발주량은 5천210만CGT(표준화물선환산t수)였으나 올해 같은 기간에는 3천610만CGT로 30% 가량 줄었다.
이같은 상황에서 한국은 올해 1-10월까지 수주량이 1천644만CGT로 작년 동기(2천830만CGT) 대비 41.9% 가량 줄었다.
상황이 이렇기 때문에 C&중공업의 워크아웃 신청을 중소형 조선업계 구조조정의 본격적인 개시를 알리는 신호탄으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여기에 전국은행연합회는 중소형 조선업체들의 구조조정을 본격화하기 '패스트 트랙'을 도입키로 했다.
이 프로그램에 따르면 주채권은행은 중소 조선사를 A등급(정상기업), B등급(일시적 경영난에 직면한 기업), C등급(부실 징후가 있으나 회생 가능한 기업), D등급(회생 불가 기업)으로 분류토록 돼있다.
A와 B등급 기업에는 은행이 신규 자금을 지원을 하는 한편 신용보증기금이나 기술보증기금이 특별 보증을 하고 C등급 기업은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절차를 밟게 되며 D등급은 지원 대상에서 완전히 제외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C&우방의 워크아웃 신청을 계기로 건설업계의 구조조정 속도도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의 각종 부동산 규제 완화 정책에도 불구하고 금융위기로 인한 실물경제 침체가 심각한 수준이고 미분양 아파트들도 잘 팔리지 않아 건설사들의 자금난은 더욱 심각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대한건설협회에 따르면 올해 들어 10월말까지 부도를 낸 건설회사는 총 328개사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05개사 대비 47.1% 증가했다. 올 들어 거의 하루 한 개꼴로 건설사들이 문을 닫은 것이다.
특히 지난해까지 신일(2007년 시공능력평가 57위)을 제외하고는 세종건설, 세창, 효명건설, 우정건설, 신구건설 등 소규모 건설사들이 부도를 낸 것과 달리 이달 중순에는 41위의 신성건설이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한데 이어 62위인 C&우방마저 은행 신세를 지게 되면서 100대 건설사내에서도 강도높은 구조조정이 예고되고 있다.
이미 정부와 은행권은 건설사 대주단협의회 운영협약(이하 대주단 협약) 프로그램을 가동해 시공능력평가 상위 100대 건설사를 중심으로 가입을 종용함으로써 건설사의 구조조정에 '메스'를 든 상태다.
대주단 협약은 외환위기 당시 '부도유예협약'과 비슷한 맥락으로 협약 신청 업체의 대출 만기를 1년간 연장해주되 은행이 관여해 신규 대출 등을 조정하면서 회사의 구조조정을 앞당기게 된다.
건설업계는 대주단 협약을 통해 프로젝트 파이낸싱(PF)과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등의 만기가 연장되면 유동성 위기를 극복하는 곳도 있겠지만 경영난이 심각한 곳은 대주단에서 탈락하거나 신규 대출이 중단돼 자연 도태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대주단에서도 퇴출될 가능성이 높은 곳은 아예 대주단에 가입하지 않고 법정관리 등의 회생 절차를 밟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연말 이후 존폐가 갈리는 업체가 더욱 늘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