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분양 예정 물량이 1만4000여가구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달 공급 예정이었던 7만7000여가구의 18%에 불과한 것으로 분양시장이 얼어붙자 건설사들이 분양일정을 대거 미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5일 부동산정보업체 스피드뱅크에 따르면 다음달에는 전국 30개단지에서 모두 2만1254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이 중 일반 몫은 1만4310가구로 12월 분양 예정 물량으로는 지난 2005년(2만2318가구) 이후 가장 적다. 지난해에는 연말에 분양가상한제 회피 물량이 쏟아지면서 12월 일반분양 예정 물량이 7만7660가구에 달했다.
다만 수도권 투기지역 및 투기과열지구가 해제되면서 다음달 분양 예정 물량 가운데 수도권 3292가구 등 전국 6382가구는 계약 즉시 분양권 전매가 가능하다.
지역별로는 경기 5558가구, 서울 2282가구, 인천 1116가구 등 수도권에 가장 많은 8956가구(62.6%)가 공급될 예정이다. 지방에서는 대구(1712가구), 부산(1238가구), 충남(970가구) 등지의 순으로 물량이 많다.
물량은 적지만 수도권에서는 서울 뉴타운지구와 판교·광교신도시 등 관심지역 단지가 분양에 나선다. 서울에서는 두산건설이 강북구 미아동 미아뉴타운 제8구역에 최고 23층 높이의 아파트 1370가구(85~145㎡형)를 선보인다. 이 중 132가구가 일반에 공급될 예정이다. 분양가상한제는 적용되지 않지만 계약 즉시 되팔 수 있다.
마포구 아현뉴타운 공덕5구역에서는 삼성물산(건설부문)이 79·148㎡형, 794가구 가운데 31가구를 일반에 내놓는다. 단지 인근에 이미 래미안단지가 들어서 대규모 래미안타운을 이룰 전망이다. 이 아파트 역시 계약 즉시 분양권 전매가 가능하다.
성남시 판교신도시에서는 대우건설과 서해종합건설이 125~201㎡형 948가구 전량을 일반분양한다. 수도권 과밀억제권역에 속하는 공공택지 중대형 아파트로 계약 후 5년간 되팔 수 없다.
용인지방공사는 용인시 광교신도시에서 분양에 나서 113㎡형 700가구를 공급할 예정이다. 이 아파트는 7년간 전매할 수 없다.
![]() |
||
김신회 기자 raskol@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