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4일 평가원 대회의실에서 공청회를 열고 정책연구진이 마련한 '2012학년도 수능 응시과목 축소(안)'을 발표했다.
발표안은 크게 탐구영역에서 최대 3과목을 선택하고 제2외국어ㆍ한문영역에서 1과목을 선택하는 제1안을 비롯 ▲현재 수능 출제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고교 1학년 내용을 출제범위에 포함하고 선택 2과목, 제2외국어ㆍ한문 1과목을 보는 제2안 ▲현행 수능 응시과목 수를 그대로 유지하는 제3안 등 세 가지다.
현재 수능과 비교해 제1안은 응시과목 수가 최대 8과목에서 7과목으로 1과목 줄어들고, 제2안은 문과생은 최대 8과목에서 9과목으로 오히려 1과목이 늘어난다.
그러나 이번 발표안은 지난 1월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새 정부의 대입 자율화 추진계획을 발표하면서 현행 수능 응시과목이 지나치게 많다는 지적에 따라 사회, 과학탐구영역의 응시과목 수를 줄여 2012년부터 최대 3과목, 2013학년도부터는 외국어영역(영어)도 포함해 최대 4과목을 각각 줄이겠다고 밝힌 내용과 크게 달라진 것이다.
응시과목 수가 줄어들면 수험생들이 시험을 보지 않는 과목은 아예 수업을 듣지 않는 등의 교육과정 파행 문제나 응시과목 제외가 예상되는 해당 교과 담당 교사들의 반발 등도 고려된 것으로 풀이된다.
평가원 관계자는 "인수위 안을 토대로 각계 의견수렴과 연구를 진행한 결과, 응시과목을 많이 줄인다고 해서 학습부담 경감과 사교육비 절감 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것은 아니라는 결론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한편, 평가원은 이날 공청회에서 제시된 각계 의견을 참고해 다음달까지 교육과학기술부에 시안을 제출, 교과부는 전문가들로 구성된 자문위원회 등을 통해 시안을 검토한 뒤 연말까지 최종안을 확정해 발표할 계획이다.
박용준 기자 saso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