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지난 19일 송파구 신천동 KTF 본사에 대한 압수수색을 마친 뒤 관련 서류 등을 옮기고 있는 모습. |
검찰이 KTF의 납품비리 의혹에 대한 수사를 본격 착수한 뒤 최고 경영자인 조영주 사장을 구속하는데 까지 걸린 시간이 겨우 보름만에 이뤄질 만큼 고강도 조사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조 사장의 체포가 하반기 KT와의 합병, 3세대(3G) 이동통신 선두유지 등 당면한 경영 현안들이 줄줄이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가능성이 높고 모기업인 KT로 까지 수사가 확대될 수 있기 때문에 KTF로서는 충격이 클 수 밖에 없다.
◆조영주 KTF 사장은 누구인가?
납품비리 및 횡령 등의 혐의로 검찰에 긴급 체포된 조영주 KTF 사장은 서울대 공학박사 출신으로 국내 통신업계에서 WCDMA(광대역코드분할 다중접속)에 대해서는 가장 정통한 CEO로 평가받고 있다.
KT 재직 시절인 2000년 IMT 사업기획단장으로 KT 남중수 사장(당시 IMT 사업추진본부장)을 도와 IMT-2000 사업권을 따내는 데 일조하며 KTF 설립을 주도한 인물이다.
2003년 KTF 부사장을 거쳐 2005년부터 이 회사 사장을 맡고 있으며 영상통화 서비스인 ‘쇼(SHOW)’ 개발을 주도하며 국내 3세대(3G) 이동통신 시장을 열은 통신업계의 스타 경영인으로 통한다. 더욱이 등 각종 연주회에서 직접 지휘를 맡거나 섹소폰 연주를 하는 등 음악에도 조예가 깊다.
◆KTF 납품 비리 발생은 왜?
이번 KTF에 대한 검찰조사는 KTF에 불만을 품은 납품업체의 불만이 원인이 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수년째 이어지는 KTF의 터무니 없는 납품가격 제시에 불만을 품은 와이브로(광대역코드분할다중접속) 중계기 납품업체의 투서가 이번 KTF에 대한 수사의 발단”이라고 말했다.
최근 공기업 비리 수사와 사정(司正) 수사를 진행하던 검찰은 투서를 토대로 KTF에 와이브로 중계기를 납품하는 B사에 대해 압수수사를 진행, 조영주 KTF 사장이 B업체롭부터 지난 수년간 7억4000여만원의 ‘뒷돈’을 받은 물증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또 회사 광고대행 업체를 선정하는 광고발주 과정과 대리점 계약과 수수료율 책정 과정 등 에서도 ‘뒷돈’을 받아 수십억원의 비자금을 조성한 혐의를 두고 수사를 진행시키고 있다.
◆KT와 정치권에도 불똥 튈 듯
이번 KTF의 비리수사는 조 사장에만 그치지 않고 모 회사인 KT와 정치권으로까지 번질 것으로 예상된다. 검찰이 이미 와이브로 납품업체로부터 ‘뒷돈’을 건넨 KTF 임원진 및 정치권 인사들의 명단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게다가 검찰은 조 사장이 2003년 중계기를 납품받아 설치ㆍ관리하는 네트워크부문장(부사장급) 시절부터 중계기 납품 업체와 부적절한 유착관계를 맺었을 가능이 높다고 보고 있어 조 사장의 납품비리 및 횡령 등에 대한 수사가 개인차원을 넘어선 것으로 파악된다.
우선 KT에 대한 조사확대가 먼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KT 역시 KTF와 마찮가지로 가장 최근에 에프알텍으로부터 7억여원 상당의 와이브로 중계기를 납품받기로 계약하는 등 포스데이타, 위다스 등 중대형 와이브로 중계기 제조 업체들로부터 수억여원에서 수십억여원 상당의 제품을 납품받아오고 있다.
이 때문에 지난해부터 KT에 대한 내사를 벌여왔던 검찰로서는 KT의 전·현직 최고 경영자를 포함한 임원들 수사대상에 올려놓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업계 일각에서는 와이브로 활성화에 대한 정부의 의지가 강한 만큼, 남중수 KT 사장까지 조사가 확대되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업계 관계자 K모씨는 “KT에 고강도 조사가 이뤄질 경우 이제 겨우 기지개를 펴기 위해 본격적인 준비를 하는 와이브로 시장이 초토화 될 수 있다”며 “검찰도 결국은 정부의 와이브로 활성화에 대한 의지를 염두에 두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외에도 이명박 정부 출범 초기부터 참여정부와 지속적인 선긋기를 해 온 가운데, 비자금이 전 정부의 핵심 측근에게 흘러들어간 것으로 전해지면서 수사 방향이 정치권까지 번질 가능성이 크다.
이번 KTF의 납품업체에서 나타난 ‘뒷돈’ 제공 명단에서 정치권에 대한 명단이 발견됨에 따라 참여정부 시절 조 사장과 친분이 두터운 것으로 알져진 정치인 L모씨 등 전·현직 정치인들에 대한 수사 또한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검찰은 조 사장이 2003년 중계기를 납품받아 설치ㆍ관리하는 네트워크부문장(부사장급) 시절부터 중계기 납품 업체와 부적절한 유착관계를 맺었을 가능이 높다고 보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결국 조사장의 비리가 참여정부 시절과 맞물린다는 점을 감안하면 정치권으로 유입된 자금이 전 정부와 어느정도의 연결고리를 갖고 있는지가 수사의 초점으로 부각될 가능성이 클 수 밖에 없다.
◆KTF 하반기 경영계획 줄줄이 차질 빚나
조 사장의 구속으로 인해 KTF의 하반기 계획이 줄줄이 차질을 빚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이동통신업계의 최대 이슈인 KT와 KTF의 합병시기가 불투명해진 것으로 보인다.
KT는 KTF와의 합병을 이번 국정감사가 끝나는 시점에서 발표하려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KT 관계자는 “KTF와의 합병에 대한 대부분의 준비는 거의 완료됐으며 오는 10월 말 또는 11월 초 쯤 양 사 합병을 발표할 예정이었다”며 “하지만 조영주 KTF 사장이 비리 혐의로 체포되는 상황에 까지 이르렀기 때문에 양 사 합병 발표를 언제 하게 될 수 있을 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더욱이 "쇼를 하라 쑈(SHOW)"를 부르짖으며 영상휴대전화시장을 연 KTF가 하반기 시장 강화를 위해 세운 경영전략이 대부분 실행하기 어려워짐에 따라 하반기 3세대(3G) 시장 점유율 및 가입자 수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