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가쇼크로 세계금융시장의 불안정이 지속됨에 따라 정부와 공기업의 외채발행이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정부는 지난주 외평채 발행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외국인 투자자들이 미 국채 수익률 대비 2.1%포인트 수준의 가산금리를 요구하자 2.0%포인트 이상의 가산금리는 받아들일 수 없다며 발행 연기를 결정했다.
하지만 리먼브라더스의 파산 신청과 메릴린치의 매각 등 월가쇼크로 인해 국제금융시장 상황이 더욱 악화됨에 따라 정부는 외평채 발행 시기를 더 늦출 수밖에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외평채 발행을 취소한 것은 아니지만 미국 금융시장의 유동성 위기로 인해 단기적으로 외평채 가산금리가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당분간 발행일정을 잡기가 힙들어진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안전자산 선호로 미 국채 수요가 늘면서 기준금리인 미 국채수익률이 낮아지거나, 미국발 신용위기가 조만간 안정세로 돌아설 것이라는 분석도 있는 만큼 시장상황이 좋아지는 대로 최종 프라이싱(금리결정)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의 외평채 발행 연기로 인해 공기업과 금융권의 외화자금 조달 역시 지연이 불가피하게 됐다.
산업은행은 정부가 외평채를 발행하면 그 가산금리를 기준으로 10억달러 규모의 해외채권을 발행할 계획이었으나 이를 무기한 연기했다. 한국가스공사도 가스요금 보전용 운전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5억달러 규모의의 해외채권을 발행할 계획이었으나 연기했고, 우리은행 역시 해외채권 발행 계획을 연기했다.
한편, 정부는 16일 경제금융상황점검회의를 열어 시중 외화사정이 단기적으로 나빠질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금융기관의 외화유동성을 점검하고 필요시 유동성 공급을 늘리기로 했다.
김준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