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에너지 2030년 세계점유율 13%

2008-10-27 21:12
  • 글자크기 설정

저탄소 녹색성장의 첫 번째 세부 실천계획인 ‘그린에너지산업 발전전략’의 발표로 온실가스 감축에 적극 기여하겠다는 정부 입장이 발표됐다.

지식경제부는 11일 브리핑에서 2030년까지 그린에너지산업 9대 분야의 세계시장 점유율 13% 달성을 위해 최초의 통합적 기술개발과 산업화 전략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이날 발표내용은 정부가 R&D지원을 시작한 1988년 이래 최초로 신재생과 효율, 전력, 온실가스처리 분야를 아우르는 산업화 전략으로 범정부차원에서 수립됐다.

그린에너지산업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혁신적 에너지기술에 기반하며 크게 신재생에너지와 화석연료 청정화, 효율향상 세 분야로 나눠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안철식 지식경제부 에너지자원실장은 “그린에너지는 2000년초 17%의 성장률을 보인 IT혁명에 비견할 만큼 폭발적 성장을 예측하고 있다”며 “그린에너지의 경제성이 확보되면 타 산업이 그린화되고 그 효과가 사회문화적 변화로 이어지는 폭포효과를 유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그린에너지산업은 지난해 18억달러 생산과 11억달러 수출, 9000명 고용에 불과하고 선진국대비 기술수준도 50~85%에 머무르는 등 수입의존도가 높은 상황이다.

하지만 반도체와 LCD, IT, 기계 등은 세계 최고 수준이고 세계 10대 에너지 소비국으로 온실가스 감축과 관련한 시장수요가 막대하기 때문에 신기술의 성장잠재력은 큰 편이다.

이에 정부는 그린에너지산업 4가지 발전전략으로 △ 성장동력화가 필요한 9대 분야 집중육성 △ 시장지향형 기술개발로 글로벌 기술력 확보 △ 시장창출을 통한 산업화 추진 △ 인프라 구축을 통한 성장동력화 지원 등을 내놓았다.

지경부의 한 관계자는 “그린에너지 생산규모가 2012년에는 170억달러, 2030년엔 3000억달러로 늘어나고 고용규모도 2012년엔 10만5000명, 2030년엔 154만명에 이를 것”이라며 “2012년 이후에는 그린에너지산업이 가시화하고 신재생에너지 보급도 크게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는 대통령 주재로 ‘그린에너지산업 발전전략’ 보고회가 개최됐다.

보고회에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지자체, 공공기관 등 각계 인사 200여명이 참석해 태양광과 풍력, 바이오에너지 등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확대하기 위한 각 기업체들의 구체적 실천목표와 사례 등이 발표됐다.

김준성 기자 fresh@

<저작권자(c)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