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GS-한화 등이 참여한 대우조선해양(이하 대우조선) 인수전이 새 국면을 맞았다. 기업 및 오너(소유주)의 도덕성 여부가 우선협상 대상자 선정에 있어 중요한 평가 항목으로 최근 거론되고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보다 디테일한 ‘컷오프’ 기준이 제시되고 있는 셈.
인수전 과열양상 방지 및 매각 이후 기업 이미지 제고와 투명성을 확보해 보겠다는 의지가 상당부분 읽히는 가운데 각 기업들은 향후 ‘허물’, ‘약점’ 감추기에 발 빠른 행보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 김승연 회장의 ‘과거’, 한화 발목 잡히나?
25일 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은 최근 남상태 사장 등 사측 인사 5명과 이세종 노조위원장 등 노조 간부 5명 등 총 10명을 주축으로 ‘대우조선 지분 매각에 대한 노사공동위원회’(이하 공동위)를 구성했다.
대우조선이 새롭게 둥지를 트는 만큼 관련 작업에 노사가 공동으로 참여, 자신들의 목소리를 매각 과정에 적극적으로 반영시키겠다는 취지다.
이에 따라 공동위는 인수 후보들의 부채비율, 자금 유동성 상태 및 고용보장, 임금단체협상(임단협) 인정 및 기업 육성 방안에 대한 평가 기준안 등을 마련해 이를 매각 주체인 산업은행 측에 전달할 계획인데 그중 인수 참가 기업들의 도덕성을 비롯 기업 총수의 비리 등 과거 행적을 주요 평가 항목에 대폭 반영키로 한 것에 특히 주목된다.
김승연 회장이 술집 종업원 집단 폭행 사건에 연루돼 실형을 선고받은 바 있는 한화 입장에서는 상당한 심적 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는 대목이다.
이는 최근 대우조선 인수전에서 전격적으로 발을 뺀 두산의 행보와도 무관치 않아 보인다.
박용성 회장 등 두산 총수 일가가 비자금 조성 및 횡령 등의 혐의로 실형을 선고 받은 전력 탓에 대우조선 노조가 두산을 ‘인수 부적격 기업’으로 결정, 결국 발걸음을 돌리게 된 계기와 맥을 함께하는 것으로 비쳐지는 까닭이다. .
기업 또는 총수 등의 비리와 다소 거리감이 느껴지는 포스코와 GS입장에서는 콧노래가 절로 나온다.
반면 1998년 12월14일 첫 지분 매각에 나서 2000년 10월 산업은행의 잔여지분(6.84%)을 완전 매각, 정부출자기관에서 민영기업으로 탈바꿈한 포스코는 도덕성 항목에서 타 경쟁사에 비해 비교우위에 있긴 하나 외국인의 주식 비중(44~45%)이 높다는 지적에서는 자유롭지 못하다.
대우조선을 외국자본에 매각하지 않겠다는 정부의 의지가 그 배경에 있는 탓이다.
이에 대해 포스코 관계자는 “(자사에) 외국인 지분이 많다고 해서 포스코를 외국인 기업으로 인식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면서 “포스코는 소유와 경영이 분리돼 있는 지배구조를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 포스코-GS, ‘여유’와 ‘긴장’ 감지
그러면서 “포스코는 국내 경영진에 의해 경영되고 있는 한국기업”이라면서 “외국인 주식 비율이 높은 삼성전자를 외국인 기업이라고 하지 않는 것과 같다”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외국인 주주들의 경우 회사의 경영실적을 통한 안정적 배당과 그에 따른 주가를 보는 장기 투자가들”이라면서 “포스코 경영권에 대한 우려는 없다. 대우조선 인수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GS의 경우 인수자금과 경험부족이 발목을 잡는 분위기다.
업계 안팎에서는 GS가 대우조선 인수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GS리테일 매각을 추진할 것이라는 전망도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에너지와 유통, 건설을 축으로 계열사를 두고 있는 GS가 대우조선인수 이후 그룹의 중추를 재편할 경우 유통 분야의 비중 축소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추측이 그 중심에 있다.
또한 GS는 대한통운과 하이마트 등 대형 인수전에서 번번이 실패한 전례도 약점으로 꼽히고 있다.
한편 증권선물거래소가 25일 발표한 ‘12월 결산법인의 2008년 상반기 말 현금성 자산(유가증권시장 기준)’에 따르면 포스코와 포스코강판의 현금성 자산은 지난해 말보다 3305억원이 증가한 2조4712억원에 달했다.
이는 GS그룹 4개사의 4천101억원(+51억원), 한화그룹 3개사의 8천223억원(+6천332억원)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김재훈 기자 jhkim@aj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