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들어 내실 경영에 주력하겠다던 시중은행들이 7월 들어서도 여전히 대출 확대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부족한 대출 재원 마련을 위해 조달 비용이 비싼 시장성 수신을 무리하게 늘려 자산 건전성 악화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5일 은행권에 따르면 주요 시중은행들의 원화대출이 중소기업 대출을 중심으로 여전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7월말 기준 국민은행의 원화대출 잔액은 전월 대비 1조6000억원 이상 늘어난 170조7397억원을 기록 중이다. 이는 총 수신 잔액을 웃도는 수치로 국민은행의 총 수신과 원화대출 잔액이 역전된 것은 올 들어 처음이다.
신한은행은 중소기업 대출과 대기업 대출이 각각 6317억원과 2331억원 증가하면서 전체 원화대출 잔액이 한 달 새 1조2150억원 급증했다.
우리은행도 원화대출이 크게 늘면서 전체 원화대출과 총 수신 간 격차가 전월 7조3378억원에서 6조6173억원으로 줄어들었다.
반면 은행권의 수신 규모는 큰 폭으로 감소했다.
지난달 30일 기준 예금은행의 총 예금 잔액은 569조8837억원으로 전월 대비 5조4438억원 감소했다.
총 예금은 5월 7조7445억원, 6월 2조1117억원 증가했으나 7월 들어 감소세로 돌아섰다.
저축성예금 잔액은 전월 대비 3조2213억원, 요구불 예금은 2조2225억원 줄어들었다.
예금 잔액 감소로 대출 재원 마련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시중은행들은 자금 조달비용이 비싼 시장성 수신을 늘리고 있다.
그러나 시장성 수신이 급증할 경우 은행 수익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을 뿐 아니라 대출금리까지 오를 수 있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수신이 대출을 밑돌 경우 금융채 등 시장성 수신을 통해 자금을 조달할 수 밖에 없다"며 "이는 시장금리를 끌어올려 대출금리 상승을 부추길 수 있다"고 말했다.
이재호 기자 gggtttppp@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