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는 최근 부산과 제주지역에서 채취한 모기 중에서 일본뇌염매개모기가 발견됨에 따라 올해 첫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했다. 일본뇌염은 예전 어린이(3~15세)들에게 많이 발생했으나, 예방접종을 실시한 후부터는 급격히 줄어들었으며, 노약자나 청·장년층도 일본뇌염 모기에 물렸을 때에는 발병할 수 있다.
일본뇌염 예방대책으로는 뇌염모기에 방제와 그 숙주인 돼지사육장에 대한 정기적인 방역과 각 개인의 예방 강화가 우선된다. 일본뇌염 예방백신의 접종은‘생균??인 경우 만 1세때 1차 접종을, 다음해인 2세때 2차 접종 그리고 만 6세때 3차 접종을 마친다.
‘사균’으로 접종할 경우에는 만 1세때 1차 접종을 한 다음 1~2주 후에 2차 접종을 바로 이어서 하며 다음해 인 2세때 3차 접종을 만 6세와 만 12세때 재접종을 실시한다. 최근에는 안정성 문제와 간편성으로 생균 예방접종을 권하고 있다.
이외 연령 대는 이전에 맞는 백신의 면역력으로 뇌염에 대한 예방이 가능하나 역시 최선의 예방책은 뇌염모기를 피하는 것으로 노약자나 어린이는 야간 외출을 삼가 하고 모기장을 치거나 모기약을 뿌리고 잠을 자는 외에는 특별한 예방책은 없다.
예방접종으로 발생은 줄일 수 있으나 근절되지 못하므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하는 개인위생과 모기의 번식과 서식을 방지하는 환경 위생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