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내년 초 강달러 두드러져…美금리 동결 가능성도"
2024-12-30 11:36
한은 외자원 '2025년 글로벌 경제여건 및 국제금융시장 전망' 보고서
"트럼프 정책·성장률 격차 달러 강세요인…美 내년 최대 2회 금리 인하"
"트럼프 정책·성장률 격차 달러 강세요인…美 내년 최대 2회 금리 인하"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고금리 장기화 가능성에 내년 초에도 달러 강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한국은행 전망이 나왔다.
30일 한은 외자운용원은 '2025년 글로벌 경제여건 및 국제금융시장 전망' 보고서를 통해 "2025년 중 관세·이민·감세 등 트럼프 정부의 정책 시행에 따른 디스인플레이션 추세 정체(또는 인플레이션 재점화)가 우려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 작성에 참여한 이윤아 운용전략팀 조사역은 "트럼프 정부 정책에 대한 기대가 높은 연초에 달러 강세가 두드러지다가 이후 정책 시행 과정에서의 한계 및 정책 효과 제약, 여타 국가에서의 금리 인하 효과 발현 등으로 다소 완화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외자운용원에 따르면 미국은 내년에도 2% 초반대의 견조한 성장을 지속하겠지만, 중국의 경우 내수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트럼프 정부의 대중 관세 인상 등으로 수출 증가세가 약화하면서 성장률이 하락할 전망이다.
이 조사역은 "다른 국가 대비 상대적으로 견조한 미국 경제의 펀더멘털(기초체력), 관세 부과에 따른 유로 지역과 중국 등 주요 수출국의 경기 부진으로 국가 간 성장률 격차가 예상된다"며 "국가 간 성장률 격차가 예상되는 점도 달러 강세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외자운용원은 내년 미국의 통화정책과 관련해서는 연준이 내년 중 금리를 25~50bp(1bp=0.01%포인트) 인하해 내년 말 정책금리가 상단 기준 연 4.00~4.25% 수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연준이 내년 최대 2회 금리를 내릴 수 있다는 의미다.
김지형 운용전략팀 과장은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이 구체화돼 추가 인플레이션 요인으로 작용할 경우 금리 인하 폭이 이보다 줄거나 동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트럼프 2기 정책 전망에 대해서는 "중국 제품에 대한 평균 관세율이 현 수준(약 11%)에서 30~40%로 인상되는 수준에 그칠 것"이라며 "대상 품목도 자본재, 반도체 등 첨단 장비와 일부 소비재에 국한될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했다.
이 경우 미국의 연간 인플레이션이 0.2~0.4%포인트 오르고, 경제성장률이 0.3~0.4%포인트 내릴 것으로 추정되지만, 불확실성이 매우 크다는 진단이다.
30일 한은 외자운용원은 '2025년 글로벌 경제여건 및 국제금융시장 전망' 보고서를 통해 "2025년 중 관세·이민·감세 등 트럼프 정부의 정책 시행에 따른 디스인플레이션 추세 정체(또는 인플레이션 재점화)가 우려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 작성에 참여한 이윤아 운용전략팀 조사역은 "트럼프 정부 정책에 대한 기대가 높은 연초에 달러 강세가 두드러지다가 이후 정책 시행 과정에서의 한계 및 정책 효과 제약, 여타 국가에서의 금리 인하 효과 발현 등으로 다소 완화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외자운용원에 따르면 미국은 내년에도 2% 초반대의 견조한 성장을 지속하겠지만, 중국의 경우 내수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트럼프 정부의 대중 관세 인상 등으로 수출 증가세가 약화하면서 성장률이 하락할 전망이다.
이 조사역은 "다른 국가 대비 상대적으로 견조한 미국 경제의 펀더멘털(기초체력), 관세 부과에 따른 유로 지역과 중국 등 주요 수출국의 경기 부진으로 국가 간 성장률 격차가 예상된다"며 "국가 간 성장률 격차가 예상되는 점도 달러 강세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외자운용원은 내년 미국의 통화정책과 관련해서는 연준이 내년 중 금리를 25~50bp(1bp=0.01%포인트) 인하해 내년 말 정책금리가 상단 기준 연 4.00~4.25% 수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연준이 내년 최대 2회 금리를 내릴 수 있다는 의미다.
김지형 운용전략팀 과장은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이 구체화돼 추가 인플레이션 요인으로 작용할 경우 금리 인하 폭이 이보다 줄거나 동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트럼프 2기 정책 전망에 대해서는 "중국 제품에 대한 평균 관세율이 현 수준(약 11%)에서 30~40%로 인상되는 수준에 그칠 것"이라며 "대상 품목도 자본재, 반도체 등 첨단 장비와 일부 소비재에 국한될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했다.
이 경우 미국의 연간 인플레이션이 0.2~0.4%포인트 오르고, 경제성장률이 0.3~0.4%포인트 내릴 것으로 추정되지만, 불확실성이 매우 크다는 진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