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디지털제품여권 의무화에...대한상의 "국내 기업에 새로운 기회"
2024-12-05 11:31
EU DPP 동향 및 GS1 대응 가이드라인 발간
"기업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
"기업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
유럽연합(EU)이 2027년부터 디지털제품여권(DPP) 의무화를 추진하면서 국내 기업들에게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EU 수출 기업들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한상공회의소(최태원 회장)는 5일 'EU DPP 동향 및 GS1 국제표준 기반 대응 가이드라인'을 발표하고, DPP 정책 동향과 적용 사례, 사전 준비 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소개했다.
DPP는 제품의 탄소배출량, 내구성 등 지속 가능성 정보와 공급망 정보를 포함한 제품 수명 주기 전반에 걸친 주요 데이터를 여권처럼 확인하고 저장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소비자와 이해관계자들은 이를 통해 제품의 원재료 출처, 탄소 배출량, 재활용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쉽게 접근하고 확인할 수 있다. EU는 2027년 2월부터 배터리 제품을 시작으로 섬유, 철강, 전자, 타이어 등 다양한 산업으로 DPP를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국제적으로 DPP 식별 체계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중 GS1 기반의 QR코드는 기존 바코드 기능을 포함해 매장에서 결제 및 재고 관리에 동일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국제적으로 호환이 가능하고 웹 기반으로 다양한 제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유력한 방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예컨대 스웨덴국립연구원이 주도한 프로젝트에서는 의류 기업들과 협력해 3000개 이상의 시범 제품에 GS1 표준식별코드를 담은 QR코드를 부착했다. 이 QR코드를 스마트폰으로 스캔하면 모든 DPP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각국의 DPP 시스템 구축도 한창이다. 지난해 3월 일본 민간기업, 기관, 학계가 참여하는 순환경제 파트너십 ‘J-CEP’는 플라스틱 DPP 개발을 위한 연구조직을 결성했다. J-CEP는 네덜란드 정보기술(IT) 회사와 협력해 DPP 구현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플라스틱 병뚜껑이 재활용 플라스틱 생산에 사용되는 전 수명 주기를 추적하고 있다.
이에 대해 대한상공회의소는 EU에 제품을 수출하는 기업들이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DPP 제도에 대비하기 위해 △법적 규제 요건을 명확히 이해하고, △DPP 연동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며, △공급업체와의 데이터 공유 및 협력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장근무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EU의 DPP 의무화는 국내 기업에 새로운 도전이자 기회"라며 "대한상의는 DPP 관련 글로벌 표준 동향과 해외 사례 소개, 세미나 및 시범 사업 등을 통해 기업들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정부와 유관 기관 차원에서 △배터리·섬유 파일럿 DPP 제작 지원 △중소기업 DPP 대응 지원·인프라 구축 △산업별 탄소 발자국 산정·감축을 위한 탄소 배출 관리 플랫폼 구축 △DPP 관련 국제 컨소시엄 참여 및 협력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김희영 한국무역협회 연구위원은 "DPP는 유럽이 추진 중인 지속 가능성, ESG 규제의 이행 여부를 확인하는 강력한 도구로 자리잡을 전망"이라며 "DPP 구현 기술 준비와 함께 탄소 발자국 등 DPP에 담길 내용을 우리 기업이 차근차근 준비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