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GGGF] 구윤철 서울대 특임교수 "글로벌 AI 경쟁력, 한국 특화 AI에 달려 있어"

2024-09-26 17:30
"결국 대한민국이 가야 할 길은 AI+X"
"AI 최종 승자는 활용을 잘하는 사람"
"활용 증대 위한 국가 차원 지원 절실"

구윤철 서울대 경제학부 특임교수가 'AI의 글로벌화를 위한 과제(스타트업 육성 전략)'라는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유대길 기자]

"결국 한국 고유의 아름다움과 데이터를 담은 특화 인공지능(AI), 즉 ASI를 개발해야 글로벌 AI 경쟁에서 주도권을 가질 수 있다."

구윤철 서울대 특임교수(전 국무조정실장)는 26일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아주경제신문 주최로 열린 '제16회 착한 성장, 좋은 일자리 글로벌포럼(2024 GGGF)'에서 이같이 말하며 '한국 특화 AI와 AI 활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구 교수는 "한국의 AI 기술 경쟁력은 아직 갈 길이 멀다"며 "국내에서는 AI 기술자를 키우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글로벌 차원에서 AI를 바라보고 활용하는 시각"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기술 개발만으로는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렵고, 한국만의 특화된 인공지능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국의 AI 기술 수준은 세계적인 수준에 비해 뒤처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AI 기술 연구와 특허·실용화 면에서 미국이나 중국 등 주요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경쟁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구 교수는 한국이 단순한 AI 기술 개발을 넘어 이를 어떻게 활용하고 실생활에 접목할 수 있는지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AI 시대의 최종 승자는 AI 기술을 개발한 사람이 아닌 AI를 가장 잘 활용하는 사람"이라며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AI 연구소에서 배우고 경험을 쌓은 인재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고 말했다. 구 교수는 AI 관련 인재 양성의 중요성도 강조하며, AI학과와 대학원, 교육센터 설립, 그리고 국내외 AI 교육을 통해 기술 인재를 체계적으로 양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구 교수는 범용인공지능(AGI)을 넘어 한국의 특화된 AI, 즉 'ASI' 개발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이 가진 고유한 문화와 데이터를 바탕으로 AI에 특화된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한국의 아름다움, 전통문양, 형용사 등 고유의 데이터는 글로벌 AI 경쟁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나아가 AI 기술의 발전이 빠른 만큼 이를 기술적인 차원에서만 접근할 것이 아니라 생활과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 접목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BM)을 창출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그는 "AI+X 전략, 즉 AI를 여러 산업과 융합해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는 것이 대한민국이 나아갈 방향"이라고 말했다. 

구 교수는 "기존 산업계에서 스타트업을 새로 시작하기는 어려워졌지만 여기에 AI를 접목하면 수백억, 수천억 원 가치를 가진 스타트업을 세울 수 있다"며 "반도체 설계, 광고, 디자인, IR 홍보자료, 계약서 작성 등 모든 분야에서 AI를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정부와 기업이 AI 활용 경진대회와 같은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AI 활용도를 높이고, 창의적인 인재들이 이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AI 시대에 발맞춰 대한민국이 글로벌 1등(G1)이 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AI에 올인(All in)해야 한다. 정부와 기업이 모든 시스템을 AI 중심으로 재편하고, 과감한 재정 투자, 벤처 육성, 법률 지원 등 노력을 기울여야만 대한민국이 선두에 설 수 있을 것"이라고 역설했다.